공공의료부문의 AI기반 어르신건강증진사업이 출범 4년째를 맞은 가운데 대구에서도 AI가 홀몸노인 돌봄사업에 적극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로 인해 생활에 불편함을 겪고 있는 달서지역 어르신들이 8천 명이 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는 달서구보건소는 지난해 6월 대구 구·군 중 처음으로 AI돌봄인형 지원사업을 시작했다. 사업을 위탁 운영하는 센터를 통해 지난해 70명의 달서지역 어르신들이 AI돌봄인형을 사용한 결과 치매 예방과 정서적 안정에 도움이 된다는 분석이 나왔다고 한다. 나아가 이 AI돌봄인형은 어르신들과의 대화를 통해 습득한 정보를 바탕으로 감정 분석기능도 갖고 있어 부정적 단어가 많이 인식될 경우 관리 업체가 센터에 상황을 전달함으로써 우울증과 고독사 예방 효과도 기대된다고 한다.

이런 현상은 대구에서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경남도는 대구의 AI돌봄인형과 유사한 기능을 가진 반려로봇 210대를 올해 보급한다고 밝혔다. 경기도 역시 안부 확인이 필요한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주 1회 AI를 활용한 안부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전화를 받지 않는 등 위기 징후가 감지되면 상담원이 직접 전화 상담을 진행하는 ‘인공지능(AI) 노인말벗서비스’를 추진한다는 것이다.

사람의 따스한 손길만큼 AI가 세심하게 모든 것으로 케어해 주지 못하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AI돌봄을 받을 여유조차 없는 빈곤계층을 무시한채 디지털 미래에 대한 무조건적인 수용이라는 비판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AI돌봄은 국내 뿐 아니라 전세계적 추세인데다 미래먹거리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는 신산업이기도 하다. 특히 중·고령층 여성인력이 현재 돌봄이나 요양 관련 일을 맡아 왔는데 처우가 열악한데 비해 일은 힘들어서 요양보호사 구하기는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그러다보니 비용부담이 앞으로 가속화될 수 밖에 없다.

이런 관점에서 AI돌봄서비스는 빠른 시일 내에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다만 노인돌봄과 같은 공공부문 AI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지속적 연구와 혹시라도 발생할 수 있는 기계적 리스크를 차단하기 위한 속도조절에도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또한 어차피 시작된 인공지능시대라면 최대한 장점을 살려 홀몸노인이나 장애인 등 AI돌봄을 필요로 하는 이웃들이 한 사람이라도 소외되지 않으면서 새로운 사회안전망으로 연착륙할 수 있도록 범정부차원의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김승근 기자 ksk@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