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건강에 자신하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직장인이라면 해마다 건강검진을 받지만, 기본 검사항목 중 눈에 관련된 검사는 시력검사가 전부다.

대부분 보는데 특별한 이상이 없다면 추가적인 안검진을 생각지 않는다.

하지만 황반변성이나 녹내장 등 실명을 유발하는 치명적인 안질환의 경우 초기에 뚜렷한 증상이 없기 때문에 정기적인 검사로 질환의 진행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

서울 누네안과병원이 2022년 1월부터 11월까지 눈 정밀검진을 받은 환자 392명을 분석한 결과 23.5%는 황반변성, 망막전막, 망막박리, 망막열공 등을 앓고 있는 망막질환자로 나타났다.

이들 가운데 황반변성(의심 포함 29.3%) 진단이 가장 많았고, 망막전막(21.7%), 드루젠(8.7%) 등이 뒤를 이었다. 대부분은 치료를 요하지 않는 건성 황반변성이었으나, 응급수술을 요하는 망막박리 환자, 망막박리로의 진행을 막기 위해 예방적 레이저 치료가 필요한 환자와 주변부 망막열공으로 당장 레이저 치료가 필요한 환자 등도 일부 확인됐다.

누네안과병원 김주영 원장은 “건성 황반변성은 진행속도가 느려 일상생활 하는데 큰 문제가 없지만, 습성 황반변성으로 진행하는 경우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치면 시각장애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며 “습성 황반변성은 조기에 발견할수록 시세포 손상이 적어 치료 예후가 좋으므로 정기적으로 경과 및 꾸준한 자가검진을 통해 치료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망막색소상피에 쌓이는 노폐물을 드루젠이라고 하는데, 노화로 인해 눈의 기능이 저하되고 혈류공급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으면 드루젠이 쌓일 수 있다. 이러한 드루젠은 망막질환의 신호일 수 있으므로, 검사에서 드루젠 소견을 들었다면 추가적인 정밀검사 후 치료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이와 함께 녹내장 의증이거나 높은 안압으로 안약 처방이 필요한 환자도 23.2%에 달했다. 시신경의 모양이 녹내장과 유사한 양상이지만, 시야검사 및 시신경섬유층 두께는 정상범위인 경우 녹내장 의증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이들에게는 추후 녹내장 진행 가능성이 있어 정기적 경과 관찰이 필요하다.



녹내장 확진을 위해서는 안압, 시신경, 시야 등을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특히 녹내장은 당뇨망막병증, 황반변성과 함께 3대 실명 유발 질환으로 꼽히지만, 다른 검사를 위해 안과에 방문했다가 우연히 발견한 비율이 70%가 넘는 만큼 이미 녹내장 의증 소견을 들었다면 추가적인 정밀검사 뒤 치료계획을 세워야 한다.



김주영 원장은 “‘안질환으로부터 눈을 지키기 위해서는 조기진단 및 치료가 반드시 선행돼야 한다”며 “40세 이상이거나 안질환 가족력이 있다면, 근시가 심하다면, 당뇨나 고혈압 등 질환을 앓고 있다면 눈에 이상이 없어도 1년에 한번은 눈 정밀검사를 받아야 한다”며 “이미 드루젠이나 녹내장 의증 등의 소견을 들었다면 추가적인 정밀검사를 통해 질환의 진행 정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누네안과병원은 서울, 대구, 남양주 포함 총 45명의 안과 전문의가 진료하고 있으며, 녹내장센터, 망막센터, 전안부센터, 시력교정센터 등으로 센터를 분리해 체계적인 진단 및 치료를 시행하고 있다.



도움말=누네안과병원 김주영 원장



이동률 기자 leedr@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