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부형 (현대경제연구원 이사대우)

연초부터 국내 외환 및 금융 시장이 매우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국내 주식시장은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 모두 단기간에 큰 폭의 조정이 이뤄지고 있고, 외환시장에서는 원달러 환율이 한 때 이틀 연속 1천200원대에 머무는 등 단기 변동성이 확대된 것이다. 물론, 이는 일본이나 중국, 유럽 주요국 등 다른 국가들에서도 볼 수 있는 현상이지만, 실물 경제보다는 외환과 금융 시장이 상대적으로 취약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염려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모두가 잘 알고 있는 바와 같이 최근 국내 외환 및 금융 시장의 불안정성이 커지고 있는 것은 지난 연말부터 우려되던 미국 연준(Fed)의 조기 금리 인상과 긴축 우려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기 때문으로 평가된다. 물론, 연준의 보유자산 매각을 통한 긴축에 대해서는 금리 인상을 먼저 한 후에 시행할 것이라는 파월 연준의장의 메시지가 있어서 당분간 큰 문제가 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최근 국내 외환 및 금융 시장의 불안정한 모습을 보면 연준의 보유자산 매각 가능성에 대한 불안 심리가 여전히 크게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더해 우리 통화정책 당국의 통화정책 운용방안에 대한 언급도 큰 영향을 미친 것 같다. 선제적인 금리 인상으로 외환 및 금융 시장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한편 부동산 시장 안정과 가계부채 문제 등 금융 불균형을 개선해 나가는 것은 매우 바람직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다만, 어떤 이유에서건 단기적으로 보면 금리 인상은 부동산이나 주식 등 자산시장을 중심으로 한 금융시장 전반을 위축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더군다나, 이런 정책의사결정이 순차적으로 지속될 것이라는 신호가 주어지면 시장은 그에 따라 반응할 수 밖에 없게 된다.

한편, 중국 경제의 하방 압력이 커지고 있다는 점도 중국 경제와의 동조성이 커진 국내 외환 및 금융 시장의 불안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 같다. 최근 중국 경제는 헝다(恒大)그룹 문제는 물론 비구이위안(碧桂園·컨트리가든)과 같은 부동산 업체의 자금조달 위기가 부각되는 등 부동산 시장 전반의 침체 우려가 점차 현실화되고 있는 것은 물론 소위 빅테크(Big Tech)라 불리는 거대 정보기술기업과 교육 등 다방면에 걸친 정부의 규제로 실적 악화가 이어지고 있다. 그 결과 지난 2021년 1/4분기에 18.3%를 기록했던 중국의 경제 성장률은 4/4분기에 4%까지 하락하면서 경기 둔화세가 뚜렷해지고 있는 것이다.

문제는 이런 현상이 어느 정도의 강도로 얼마나 더 오래 지속될 것인지 여부인데 생각보다 강하고 오래 진행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 지금으로서는 최선의 답인 것 같다. 이는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극복 후 상황을 돌이켜보면 쉽게 알 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당시에도 단기적으로는 개도국을 중심으로 통화, 주가, 채권 가격이 급락하는 긴축발작(Taper Tantrum) 현상이 3차례(2013년, 2015년, 2018년)나 발생하면서 그 때마다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었고, 수년에 걸쳐 국내 자산시장은 조정 국면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그런데 이번에는 인플레 우려가 지속되면서 미국 연준의 통화정책 전환이 조기에 빠른 속도로 이뤄질 것이라는 시장 전망이 우세하다. 이를 전제로 한다면 국내 외환 및 금융 시장은 지난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에 경험했던 것보다 오히려 더 큰 충격을 받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것이다. 여기에다 국내 주식과 부동산 등 자산 가격이 상당히 높은 수준에 이르렀다는 점을 고려하면 우리 통화정책 당국의 정책 기조 전환 속도가 예상보다 빨라질 수도 있다는 점도 잊어서는 안 된다. 여기에 중국 리스크나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등과 같은 대외 돌발 변수 역시 또 언제 들이닥칠지 불확실하다는 점 또한 유념해야 한다.

최근 불안정성이 커지고 있는 국내 외환 및 금융 시장을 바라보는 개인투자자나 가계, 기업 등 경제주체들의 시름이 여느 때보다 더 크다는 것은 충분히 미뤄 짐작할 수 있는 일이다. 하지만, 늘 그러하듯이 개인적으로는 정책 당국에 대해서는 정책 전환 속도와 정도를 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과, 경제주체들에게는 그저 조심하라는 조언을 건네는 정도에 그칠 수밖에 없다는 것이 참 안타깝다.

이부형 (현대경제연구원 이사대우)



서충환 기자 seo@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