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급차는 코로나19 확진자 이송에 필수적이다. 그런 구급차 구하기가 하늘의 별따기처럼 어려워졌다. 대구지역 구·군마다 사설 업체와 이용 계약을 체결하는 것도 모자라 웃돈을 주고 구급차를 부르는 상황까지 생겨난다고 한다. 예전에 택시를 탈 때 ‘더블’을 외치듯이 공공기관인 지자체가 웃돈을 주고 구급차 콜에 나선다는 이야기다.

사설 구급차 요금은 수요 폭증으로 부르는 게 값이 됐다. 확진자가 제때 입원은커녕 구급차가 없어 병원으로 가지도 못할 판국이다. 이것이 전세계에 자랑하던 K방역인가. 어처구니 없는 일이 아닐 수 없다.

현실을 감안하지 않은 이송체계 조정의 허점이다. 확진자 이송은 종전 소방안전본부에서 전담했다. 그러나 지난 달 초 재택치료가 본격 시행되면서 이송 업무 중 상당 부분이 일선 보건소로 넘어갔다. 중등증 이상 확진자 및 야간(오후 6시~다음날 오전 9시)을 제외한 나머지 대부분 확진자 이송 업무를 보건소가 책임지게 됐다.

문제는 보건소에 있는 이송 차량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대구지역 8개 구·군 보건소가 보유한 이송차량은 보건소 별로 1~2대에 불과하다. 이들 차량은 검체와 응급환자 이송까지 맡고 있다. 확진자 이송에 나설 여유가 없다.

이송체계 조정 이후 119 구급차 68대가 한꺼번에 빠져나갔다. 그러나 지역 응급이송 전담 업체의 확보차량은 36대(6개 업체)에 불과하다. 대체 공급이 절반에 그친다. 문제가 생기지 않으면 되레 이상할 지경이다.

확진자 이송은 코로나 대응의 기본이다. 인력과 장비 부족 등 격무에 시달리는 119 상황을 이해못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지자체 실정을 최우선적으로 감안해야 했다. 확진자 이송에 차질이 생기면 누가 책임질 것인가. 일선 구·군이 현실과 괴리된 업무 조정에 왜 적극 반대하지 않았는지도 궁금하다.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한 119도 응급 이송 대응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구급차 확보에 나섰다. 시도 별로 보유한 예비 구급차 가운데 상태가 양호한 차량을 선별해 내년 1월부터 현장에 투입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코로나 확진자는 전국은 물론이고 지역에서도 연일 대거 발생하고 있다. 13일 대구 144명, 경북은 163명이다. 각각 9일과 8일 연속 세 자릿수 확진자 발생이 이어졌다. 확진자 이송 수요도 덩달아 늘어나고 있다.

민관을 통틀어 확진자 이송에 투입할 수 있는 인력과 장비는 한정돼 있다. 긴급 확충과 함께 기존 장비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방안을 서둘러 찾아야 한다.



지국현 기자 jkh8760@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