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이 한 달여 만에 멈춰섰다. 코로나19 확산세가 거세지자 정부가 6일부터 내년 1월2일까지 4주간 대폭 강화된 방역수칙 적용에 나섰기 때문이다. 이번 조치가 향후 4주간의 적용에 그칠 것이라고 믿는 국민은 거의 없다. 국내 코로나 첫 발생 이후 지난 2년 가까이 그래 왔듯이 앞으로도 일정 기간을 주기로 기약없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지난 11월1일 위드 코로나 실시 후 상황은 방역당국의 예상을 크게 벗어났다. 확진자는 12월 들어 거의 매일 5천 명선을 넘었다. 6일 0시 기준 확진자는 4천325명이었지만 일요일 기준 사상 최대다. 일부 전문가들은 하루 1만 명대 발생은 시간문제고, 올 겨울 2만 명대 확진자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한다. 위중증 병상 가동률이 서울·인천은 90%가 넘어 사실상 포화상태다. 전국 평균도 80%선을 넘어섰다. 자칫하면 의료체계가 붕괴될 수도 있는 상황이다.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가 급속하게 늘고 오미크론 변이까지 확산기미를 보이자 정부는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 적용 범위를 대폭 강화하기로 했다. 사적 모임을 수도권 6명, 비수도권 8명으로 제한하고 방역패스가 있어야 들어갈 수 있는 다중시설도 크게 확대했다. 내년 2월부터는 청소년 방역패스 적용도 12세 이상으로 확대된다.

현재로서는 백신 접종만이 코로나 확산을 차단할 수 있는 유일한 대책이다. 방역패스는 미접종자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로 이해해야 한다. 지금은 막연한 우려나 개인의 신념만으로 백신을 거부할 수 있는 단계가 아니다. 코로나 상황이 길어지는 것은 누구나 예측할 수 있다. 전 국민의 80%가 넘는 사람이 2차접종까지 마쳤다는 사실은 신체적 조건이 허용한다면 백신을 맞아야 한다는 것이 다수 국민의 생각이라는 점을 말해준다.

당국은 부작용이 우려되는 경우에는 접종을 받지 않고도 일상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조치를 더욱 적극적으로 강구해야 한다. 해외사례를 참고해 접종과 거부의 접점도 찾아야 한다.

청소년 접종에 대한 불안감을 어떻게 해소할 것인지가 과제다. 권고 수준에 머물렀던 접종 지침이 사실상 강제로 급선회하자 반발이 거세졌다. 부모들의 반대는 부작용 때문이다. 접종할 경우 얻는 이득이 더 크다는 정도의 설명으로는 이해를 얻기 어렵다. 보다 과학적인 데이터로 꾸준히 설득에 나서야 한다.

방역패스 확대는 불가피한 선택이다. 정당한 사유없이 백신을 거부하는 사람들은 코로나 상황이 어느 정도 안정될 때까지 불편을 감내하는 수밖에 없다.



지국현 기자 jkh8760@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