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혹수사ㆍMZ표ㆍ단일화’가 당락 변수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 연합뉴스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 연합뉴스
▲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 연합뉴스
▲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 연합뉴스
▲ 정의당 심상정 대선 후보. 연합뉴스
▲ 정의당 심상정 대선 후보. 연합뉴스
▲ 국민의당 안철수 대선 후보. 연합뉴스
▲ 국민의당 안철수 대선 후보. 연합뉴스
내년 3월9일 실시될 제20대 대통령선거가 100일 앞으로 다가왔지만 최종승자를 예측하기 어려운 안갯속 판국이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국민의힘 윤석열, 정의당 심상정, 국민의당 안철수 대선후보의 대진표가 확정된 가운데 이재명·윤석열 후보가 박빙 양상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

1987년 직선제 개헌 이후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까지는 투표일 100일 전을 기점으로 대부분 예측 가능했다.

7번의 선거 중 노무현 전 대통령을 제외하고는 선거 100일 전 실시했던 여론조사에서 모두 당시 1위를 한 후보가 당선됐다.

양강 구도 속 양강 주자의 사법 리스크, 20·30세대 및 중도층의 표심, 여야별 진영 단일화, 대표 공약 등이 주요 변수가 될 전망이다.

통합론이 대두될 가능성도 나온다.

심 후보와 안 후보가 종반까지 5% 안팎의 지지율을 유지한다면 선거 결과를 바꿀 변수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민주당과 국민의힘 지지층에서 표 분산을 최소화하기 위한 연대 요구가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

이런 판세 속 양강 주자들의 포스트 경선 행보도 순탄치 않다.

민주당은 일찌감치 출범시킨 선거대책위원회를 사실상 해체하고, 전면 재구성하는 대개편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지난한 신경전 끝에 애초 원톱으로 유력시됐던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빠진 채 일단 개문발차식으로 선대위를 띄웠다.

남은 100일간 어느 쪽이 추가적인 잡음 없이 내부결집에 성공할지도 승패의 한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진짜 승부는 이제부터

현재 정권교체 여론이 정권 재창출론 보다 우세하지만 양강 주자인 이재명·윤석열 후보의 지지율은 오차범위 내 접전이다.

정치권은 남은 100일간 몇 차례 판세가 출렁일 수 있다고 관측하고 있다.

윤 후보는 지난 5일 국민의힘 경선 승리 이후 지지율이 상승하는 컨벤션 효과를 누렸다는 평가가 많다. 그러나 최근 이러한 컨벤션 효과는 잦아들고 있는 양상이다.

윤 후보의 지지율 상승세를 우려한 여권 지지층의 결집, 윤 후보 선대위 구성 난항, 이 후보의 선대위 쇄신 등이 요인으로 분석된다.

이에 ‘지금부터 진짜 승부가 시작됐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헤럴드경제가 지난 23~24일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를 통해 여론조사를 한 결과(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참조)에 따르면 윤 후보는 42.0%, 이 후보가 39.8%의 지지율을 얻으며 오차범위 내 격차를 보였다.

무엇보다 불확실성을 키우는 변수는 사법리스크다. 이 후보와 윤 후보는 현재 검찰과 공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수사선상에 올라 있다.

검찰과 공수처의 수사상황과 맞물려 양당의 네거티브 공세가 표심에 적잖은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또 하나 주목할 지점은 2030 세대의 표심이다.

양강 주자 모두 2030세대 지지율이 극히 저조하다.

KBS가 지난 5~7일 한국리서치를 통해 여론조사를 한 결과(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참조)에서 20대의 이 후보 지지율은 16.2%, 윤 후보 지지율은 16.7%였다.

30대 지지율 역시 이 후보(24.5%)와 윤 후보(24.1%) 모두 저조했다.

부동산, 취업난, 젠더 갈등 등 청년 세대의 주요 관심사와 관련한 정책 대안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제시하느냐가 2030 표심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선대위 난항, 누가 내부결집 성공할까

여야는 아직 내부 정비가 한창이다.

민주당은 원내 정당 중 가장 빠른 지난달 10일 이재명 대선 후보를 선출했지만, 이후 혼란을 거듭했다. 결국 이 후보는 출범 3주 만에 전면쇄신 입장을 밝혔다.

민주당은 3~4선 중진들이 지휘하던 선대위 본부들도 대폭 축소·개편할 방침이다. 전반적으로 선수를 대폭 낮추고 실무 중심의 선대위를 꾸려 중도층에 어필하겠다는 전략이다.

국민의힘 선대위는 출발도 하기 전부터 난관에 부닥쳤다.

원톱 총괄선대위원장으로 사실상 내정됐던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원장의 합류가 표류하면서 20여일 혼란이 이어졌다.

김 전 위원장은 김병준 공동 상임선대위원장직의 취소 또는 보직변경을 물밑에서 요구했지만 윤 후보가 입장을 고수하면서 갈등이 증폭했다.

현재까지는 김 전 위원장의 합류가 불발된 모양새지만 다음달 6일로 예정된 선대위 발족식까지 상황은 유동적이다.

선대위의 방향은 외연 확장에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20·30세대와 중도층의 마음을 돌려세우는 게 시급하다는 점에서다.

◆대통합 시동 건 여야

통합론이 대두될 가능성도 나온다.

민주당 이 후보는 ‘범여권 대통합론’을 거론하며 동교동계 호남 인사들의 집단 복당과 열린민주당과의 합당에 나섰다.

이 후보는 심 후보와의 단일화 가능성도 열어뒀지만, 심 후보는 “단일화는 없다”며 독자 완주 의지를 표명한 상태다.

국민의힘 윤 후보는 안 후보와의 연대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 지난 4·7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국민의힘과 안 후보가 후보 단일화를 이뤘던 만큼 이번 대선에서도 협력을 기대하는 분위기다.

그러나 안 후보 역시 “제1야당 후보가 양보한다면 정권교체가 가능하다”며 완주 의사를 밝혔다▲.

이런 가운데 심 후보와 안 후보는 특검 공조를 비롯한 제3지대 연대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신당 창당에 나선 김동연 전 경제부총리와의 연대도 시사했다.

비호감 대결로 전락한 이번 대선의 빈틈을 적극적으로 공략하겠다는 포석이다. 이런 행보가 부동층 표심에 어떤 영향을 줄지 주목된다.



이혜림 기자 lhl@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