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선거는 지역의 현안을 국가 정책에 반영할 수 있는 기회다. 전국의 모든 지자체가 자신들의 정책목표와 현안사업을 각 후보들의 공약에 포함시키기 위해 ‘총성없는 전쟁’을 벌인다. 대선 공약이 향후 5년간 차기 정부 국책사업의 기본 방향이 되기 때문이다.

대구시는 지난 15일 여야 대선 후보들에게 요구할 주요 공약을 선정했다. ‘대한민국 남부권의 글로벌 거점 도약’을 비전으로 한 5개 분야 16개 사업이 포함됐다.

글로벌 경제물류 공항을 목표로 하는 대구경북 신공항 건설이 대구공약 1호 건의사항이다. 금호강 생태환경을 복원해 국가정원으로 조성하겠다는 방안도 포함됐다. 경북도청 후적지의 문화산업 허브, 서비스로봇 글로벌 허브, 전기차 클러스터 조성, 취수원 다변화, 대구·광주 하계 아시안게임 공동유치 등도 눈길을 끄는 요청 사항이다.

대구시는 대선공약 사항 발굴을 위해 지난 3월부터 8개 구·군 및 유관기관, 시민사회, 경제계 등의 의견을 수렴해왔다. 또 하반기에는 시민설문조사를 실시하기도 했다. 지역의 나아갈 방향이 총망라된 셈이다.

그러나 문제는 성과가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번 공약 채택 요구가 대선 때마다 되풀이되는 보여주기식 성격의 의례적 행사에 그쳐서는 안된다. 요청한 만큼 결과가 나와야 한다.

당연히 현실성 있는 실행계획이 뒷받침돼야 한다. 지역의 절박한 사정을 담아 누가 봐도 물리치지 못할 정도로 정교한 계획을 짜야 한다. 정당 별 맞춤형 접근전략을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번에 제시한 공약 채택에 수반되는 예산은 40조 원 규모다. 모두 반영되면 좋겠지만 지역 간 경쟁으로 일부 사업에는 어려움이 따를 수도 있을 것이다. 우선 순위를 잘 정해야 한다. 그래야 성사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향후 각 정당 선대위 등과 접촉할 때 미래 먹거리와 지역 혁신공약 위주로 선택과 집중 전략을 펼치는 방안도 필수다.

권영진 대구시장이 강조한 것처럼 대선과정의 지역공약은 차기 정부 국정 운영과제와 연결돼 지역 발전을 이끌 핵심 기반이 된다. 행정력은 물론이고 정계, 경제계, 문화계 등 지역의 모든 역량을 총동원해야 한다. 지역 여론을 바탕으로 여야 각 후보 측과 접촉하고 설득해야 한다.

현 정부 들어 지역민들은 이른바 ‘TK 패싱’으로 큰 상실감을 경험했다. 이번 대선공약 채택에서 지역현안이 정책 시행의 우선순위에서 밀려서는 안된다. 지역민들이 울분을 되씹는 사태가 되풀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대구시 등 유관기관의 분발을 당부한다.



지국현 기자 jkh8760@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