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교통여건과 안 맞는데 땅 위 지하철 ‘BRT’ 글쎄…”||대구시는 내부 입 단속만,

▲ 국토교통부는 최근 ‘간선급행버스체계(BRT) 종합계획 수정계획(2021~2030)’을 확정하고, 대구지역에 2030년까지 BRT 3개 노선을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진은 2017년 대구 동대구역에 설치된 중앙버스전용차로 모습.
▲ 국토교통부는 최근 ‘간선급행버스체계(BRT) 종합계획 수정계획(2021~2030)’을 확정하고, 대구지역에 2030년까지 BRT 3개 노선을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진은 2017년 대구 동대구역에 설치된 중앙버스전용차로 모습.
정부가 대구지역 3곳에 ‘땅 위의 지하철’로 불리는 간선급행버스체계(BRT) 도입 계획을 발표했지만 정작 대구시는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지역 교통 여건 및 수요 확보 등의 문제로 사업 추진에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판단에서다.

9일 대구시에 따르면 최근 국토교통부 대도시광역교통위원회가 ‘BRT 종합계획 수정계획(2021~2030년)’을 확정했다.

BRT는 전용 주행로, 정류소 등의 시설을 갖춰 급행으로 버스를 운행하는 교통체계를 말한다. 통행 속도 및 정시성 확보 등 도시철도에 준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게 BRT의 장점이다.

전국적으로 55개 BRT 노선 계획이 확정된 가운데 대구지역에는 3곳이 포함됐다.

확정된 노선은 △서구청∼구 대구MBC(총연장 6.5㎞·사업비 231억 원) △서부장류장역∼북부시외버스터미널(총연장 6.0㎞·사업비 241억 원) △칠성교∼입석네거리(총연장 3.9㎞·사업비 137억 원)이다.

이번 국토부의 계획 포함으로 대구시는 해당 구간 총사업비의 50%를 국비로 지원받게 된다.

하지만 대구시의 반응은 시큰둥하다.

주민들의 교통편의 향상은 물론 인근 부동산 가치 상승까지 기대되는 호재지만 대구시는 별도의 보도자료도 내지 않은 채 오히려 ‘쉬쉬’하는 분위기다.

비슷한 성격의 교통수단인 노면전차(트램) 도입 때와도 온도 차가 뚜렷하다. 지난 6월 트램 도입 당시 대구시는 물론 지역 정치권까지 나서 너도나도 치적 홍보에 열을 올렸었다.

이 같은 태도 변화의 이유는 대구시에서 BRT를 추진할 의지가 없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018년 대도시광역교통위원회는 전국 지자체에 일괄적으로 BRT 노선 발굴을 요청했다. 당시 대구지역에선 7개 노선이 발굴됐으며, 그중 3개 노선이 이번 수정계획에서 살아남았다.

대구시는 현재 지역 교통상황을 고려했을 때 BRT 도입은 ‘시기상조’라는 입장이다.

BRT는 노선 특성상 좌회전 혹은 우회전이 힘들다. 교통 공학적으로 신호체계 변경이 어렵기 때문이다. 단 한 번의 차로 변경 없이 쭉 이어져야 하는데 대구지역에서 이에 부합하는 환경을 가진 곳은 사실상 달구벌대로가 유일무이하다.

그러나 대구도시철도 2호선과 노선이 정확히 겹치는 만큼 수요는 불투명하다. 차선책으로 발굴한 노선이 이번에 확정된 3개 노선이지만, 부산·광주의 사례처럼 시행 초기 극심한 차량 정체 및 민원 발생이 우려되기에 사업 추진이 부담스러운 상황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이번 계획 포함은 혹여 나중에 추진할 때 국비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정도의 의미”라며 “당장 BRT를 도입할 계획은 없다. 중장기계획으로 잡혀 있는 만큼 오는 2025년 이후 여건 변화에 따라 추진 여부를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승엽 기자 sylee@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