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에도 공동주택 리모델링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재건축에 비해 상대적으로 규제를 덜 받고, 빠른 사업 추진이 가능한 리모델링 시장이 폭발적인 인기다. 아파트 시장에도 새 바람을 불어넣고 있다. 지역민들의 관심도 높다. 하지만 난관도 적지 않다. 대구시 등의 적극적인 정책 뒷받침이 필요해 보인다.

리모델링은 재건축에 비해 사업 기간도 짧고 초과이익환수제와 기부채납 등의 규제를 받지 않는 이점이 있다. 때문에 최근 주택시장에서 관심이 쏠리고 있다. 각종 시설이 낡고 주차공간 부족 등 주민불편이 큰 공동주택이 대상이다. 특히 각종 규제로 재건축 사업의 환경이 나빠지자 리모델링이 그 대안으로 떠올랐다. 서울 지역 등에선 유행 조짐까지 보이고 있다고 한다.

대구의 경우 리모델링 공사를 수행할 시공사와 정비·설계업체 등이 윤곽을 드러내면서 구체화되고 있다. 현재 대구 5개 단지가 리모델링에 나서고 있다고 한다. 수성구의 한 아파트 단지는 다음 달 중 리모델링 조합 총회를 거쳐 시공사를 확정할 예정이다.

3천240세대의 만촌동 메트로팔레스도 업체 선정과 함께 본격적인 리모델링에 들어갈 계획이다.

행정도 팔을 걷어붙였다. 대구시는 내년도 신규 사업으로 ‘대구형 리모델링 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키로 하고 연구용역비 4억 원을 책정, 행·재정적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재건축은 낡은 건물을 허물고 새 건물을 세우는 사업인 반면 리모델링은 건물의 기본 골조와 형태를 그대로 두고 내부 구조를 바꾸는 방식이다. 이때 수직·수평 증축을 통해 건물 규모를 키워 외관과 부대시설을 새롭게 바꿀 수 있다.

리모델링은 건축물 노후화를 억제하고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리모델링은 기존 골조를 바꿀 수 없어 내부 개조에 한계가 있다. 증축을 통한 추가 세대 확보가 많지 않아 분양 수익도 기대할 수 없다. 사업비 대부분을 입주민이 부담해야 한다는 점도 단점이다.

리모델링 시장 규모는 갈수록 커지는 추세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국내 리모델링 시장 규모를 지난해 17조2천900억 원, 2030년엔 30조 원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리모델링은 말하자면 주택 재활용이다. 난개발과 자원 낭비를 막는 긍정적 측면이 강하다. 재건축의 확실한 대안이 됐다. 주택 문화에 변화가 불가피하다. 하지만 추진 과정에서 분담금 배분 등 주민 간 이해 충돌도 없지 않을 것이다. 지자체가 행·재정적 지원과 함께 갈등 조정에도 신경 써야 할 것이다. 공동주택 리모델링 사업의 성공적 정착을 바란다.



홍석봉 기자 dghong@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