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 눈이 내린 겨울 숲이 여자로 보일 때/ 김동원

발행일 2021-10-31 14:34:02 댓글 0 글자 크기 키우기 글자 크기 줄이기 프린트
흰 눈이 내린 겨울 숲이 여자로 보이거나, 하나 둘 켜지는 저녁 도시 불빛이 그 여자들의 어깨 둘레로 보일 때, 붉게 물든 저녁놀 부드럽게 산정에 입 맞출 때, 난 으레히 습관처럼 지녀 온 버릇이 있다. 그것은 한 편의 시를 펼쳐 보는 일이다. 그 중에서도 내 마음속 깊이 움직이게 한 한 줄의 아름다운 시구를 찾아내, 방안을 서성대며 조용히 혼자 소리 내어 읊조리는 기분은… 참 묘한 것이다. 이 소리들은 나직이 방안 귀를 따라 돌며 천장으로 올라갔다 내려온다. 마치, 누군가 이 시어들에 맞춰 피아노의 선율을 소리 내어 들려주는 것처럼. 그러면 놀란 사방의 벽들만이 이 우스운 짓을 왜 하는지 몰라, 킥킥킥 돌아서서 비웃고 있는 것이다. 아무러면 어떤가. 어차피 인생은 제 스스로 힘껏 움직이다 가는 것. 저 창밖 빈 겨울 나무처럼, 추운 모퉁이 한켠에 비켜서 있다가, 봄이 오면 제일 먼저 뛰어나가 푸른 잎사귀의 물관을 타고 올라서, 하늘 위 흐르는 흰 구름의 가슴을 뭉클 만져 보면 된다.

「고흐의 시」 (그루, 2020)

살다 보면 어두운 길을 헤맬 때가 있다. 주위엔 사람도 없고 한치 앞도 볼 수 없다. 빛이 찾아와 길을 밝혀줄 것 같지 않고 함께 걸어가며 옆에서 말동무 해줄 사람도 나타날 것 같지 않다. 살을 에는 바람이 부는 겨울 숲속, 옷을 벗은 나무는 앙상한 갈비뼈를 드러내고 하늘엔 하얀 눈이 흩날린다. 해는 서산에 걸려 붉은 노을이 붉게 물들고 도시의 불빛이 어둠을 뚫고 나와 그 모습을 숨긴다. 고독과 절망만이 좁은 공간을 맴돌 뿐.

아무리 가슴을 어루만지면서 마음을 다잡아 봐도 암울한 질곡을 벗어날 수 없다. 좌절의 덫을 빠져나가려고 발버둥 칠수록 운명은 더욱더 발목을 죈다. 슬픔은 깊어 더 이상 슬프지 않고 마음은 무겁게 가라앉아 적막하다. 무릎 꿇고 운다고 될 일도 아니다. 삶의 짐을 내려놓고 죽음의 눈을 응시하는 자포자기 상태에 빠진다.

문득 엄마의 얼굴이 떠오른다. 숲속에도, 도시의 불빛 속에도, 저녁노을 속에도, 엄마의 모습이 환영처럼 비친다. 부모가 준 목숨, 나만의 것이 아니다. 그땐 습관처럼 시집을 펴들고 애송시를 낭독한다. 이런 짓거리를 왜 하지, 하는 자괴감이 들기도 한다. ‘에라, 시에라도 미쳐 가볼 데까지 가보자.’ 시는 피아노의 선율처럼 유영하며 고독과 절망을 녹여낸다. 그제야 바닥의 안정에 힘입어 평온이 찾아온다. 기운이 소록소록 솟아나고 삶이 생기를 띠며 기지개를 켠다.

태어날 때 인생은 누구나 하얀 백지이지만 살아가면서 원하는 그림을 스스로 그려 넣는 것이다. 남이 대신 그려주진 않는다. 인생은 자기 주도적이고 자기책임으로 일궈가는 법이다. 삶이 힘들면 그만 포기하고 싶을 때도 있겠지만 그게 또 생각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죽는 것이 사는 것보다 힘들다는 사실을 깨닫는다면 부지런히 힘껏 움직이다 갈 수밖에 없다. 하루하루 차곡차곡 삶을 쌓아 가면 언젠가 가슴 뿌듯한 튼실한 성취를 맛볼 터다.

“저 창밖 빈 겨울 나무처럼, 추운 모퉁이 한켠에 비켜서 있다가, 봄이 오면 제일 먼저 뛰어나가 푸른 잎사귀의 물관을 타고 올라서, 하늘 위 흐르는 흰 구름의 가슴을 뭉클 만져 보면 된다.” 시 나무를 타고 구름 위로 올라 이백과 마주앉아서 술잔을 기울일 만한 경지다. 이만하면 하산해도 좋을 듯하다.

오철환(문인)

<저작권자ⓒ 대구·경북 대표지역언론 대구일보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