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구름의 시간/ 김선굉

발행일 2021-07-18 14:34:21 댓글 0 글자 크기 키우기 글자 크기 줄이기 프린트
팔공산 능선 위에 가볍게 떠있는 구름을 본다./ 제 몸을 금호강에 비춰보고 있는 구름을 본다/ 오랜만에 고요히 바라보는 흰구름의 시간./ 맑은 바람이 불어 풍경은 고요히 흔들린다./ 코로나19는 밖으로 나가는 문을 철거덕 닫아걸더니,/ 거기 문이 있는 줄도 몰랐던 내 가슴의 문을,/ 어떻게 여는 지도 몰랐던 내 마음의 문을/ 쉽게 열어젖히고 안을 들여다보게 한다./ 오래전 그 안에 떠있던 푸른 하늘과/ 유유히 떠가던 흰구름의 시간은 간데없다./ 깨진 거울의 가슴이며 캄캄히 저무는 마음이다./ 코로나19는 니가 나보다 더 무섭지 않느냐며,/ 네 곁에도 저보다 더 무서운 게 널렸지 않느냐며,/ 마음을 여는 마스터키를 내 손에 쥐어준다./ 하루에 한 번씩은 흰구름의 시간이 흐르게 하고,/ 하루에 한 번 씩은 환한 등불을 내다 걸어야 한다.

「아침이 오면 불빛은 어디로 가는 걸까」 (학이사, 2020)

끝이 보일 것 같던 코로나가 다시 창궐하고 있다. 베타, 람다 등 코로나 변이바이러스가 유행을 선도하는 듯하다. 이른바 4차 대유행이란다. 추운 겨울은 독감 예방 차원에서 그러려니 하고 마스크를 끼고 지내왔다. 또 참을만했다. 한 해가 훌쩍 지나고 다시 무더운 여름이 왔건만 아직도 오락가락이다. 구멍 뚫린 방역에 큰 소리라도 지르고 싶은 욕망이 부글부글 끓어오른다. 텁텁하고 뜨거운 날숨을 재활용하며 긴 여름을 날 생각을 하니 숨이 턱 막히고 정신마저 몽롱하다.

최근 느슨하게 풀리던 ‘사회적 거리두기’가 다시 강화되고 있는 추세다. 지난해 대구시민이 집안에 갇혀 답답해 할 때, ‘심리적 거리 좁히기와 희망의 연대’의 일환으로 대구의 시인들이 십시일반 힘을 합쳐 펴낸 시집, 「아침이 오면 불빛은 어디로 가는 걸까」를 다시 펼쳐든다. 셰익스피어의 “눈이 녹으면 그 흰 빛은 어디로 가는 걸까”에서 차용했다는 제호만으로도 어느 정도 위안이 되는 듯하다. 밤이 깊으면 새벽이 오고, 새벽이 오면 동이 튼다. 아침 햇살이 세상을 비추면 어둠을 밝히던 불빛은 아름다운 추억 속으로 사라질 터이지만.

팔공산과 금호강 그리고 흰구름이 새삼스럽다. 바쁜 일상에 쫓긴 탓에 푸른 하늘과 흰구름을 잊고 살았다. 꿈과 희망은 각박한 현실에 치여 움츠러들었다. 한 조각의 구름이 모였다가 흩어지는 것이 인생이라 했던가. 역병이 몸을 집안에 가뒀지만 마음의 문을 열어줬다. 성찰하고 돌아볼 시간을 준 셈이다. 한때 순수했던 마음은 깨진 거울처럼 참담하다. 고개를 들어 하늘을 볼 여유도 없었다. 코로나 바이러스보다 마음의 병이 더 무서운지 모른다. 소중한 걸 잊고 사는 인간에게 경고의 메시지를 준 게 아닐까.

코로나가 세상을 공포의 도가니로 몰아넣고 있지만 인간의 자만과 오만을 치유한 측면도 있다. 숨 가쁘게 앞만 보고 달리기만 한다고 행복의 문이 열리지 않는다. 목마름을 풀려고 무작정 콜라를 들이킨다고 갈증이 사라지지 않듯이 이기심에 사로잡혀 욕심을 채운다고 허한 마음이 채워지지 않는다. 못 된 역병이라고 다 나쁘기만 할까. 역병을 극복하는 과정은 새롭게 거듭날 기회다. 완전한 악도 없고 완전한 선도 없다. 신종역병은 허약한 마음을 튼튼하게 단련하는 백신이고 마음의 문을 여는 마스터키다.

‘하루에 한 번씩은 흰구름의 시간이 흐르게 하고, 하루에 한 번 씩은 환한 등불을 내다 걸어야 한다.’

오철환(문인)

<저작권자ⓒ 대구·경북 대표지역언론 대구일보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