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대구 시민들은 구미 해평취수장의 물을 수돗물로 사용한다. 환경부가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라는 이름으로 해평취수원 물을 대구와 나눠 사용하기로 결정한 때문이다. 대구시의 수돗물 오염 우려와 안전한 물 확보라는 해묵은 숙제가 풀렸다. 하지만 일부 해평 주민과 환경 단체들의 반발은 해결 과제다.

환경부의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는 낙동강 취수원을 다변화하는 내용이 담긴 ‘낙동강 통합물관리 방안’을 의결했다. 환경부는 지난 24일 대구의 안전한 먹는 물 확보를 위해 오는 2028년까지 구미 해평취수장에서 30만t의 물을 끌어오는 취수원 다변화 대책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환경부는 낙동강 상류 구미 해평취수장 30만t, 대구 추가 고도정수처리 28만8천t 등을 통해 대구에 57만t, 경북 지역에 1만8천t을 공급키로 했다.

반발하는 해평 주민들에 대한 당근책도 내놓았다. 취수원 운영 과정에 지역 주민 참여를 보장한다고 약속했다. 대구시민의 물이용부담금을 인상한 재원으로 해평취수장 증설을 시작할 때부터 매년 100억 원을 구미시에 지원키로 했다. 이와 별도로 대구시는 구미시에 100억 원을 일시금으로 내놓키로 했다. 해평 지역의 농·축산물을 우선 구매하는 등 주민들의 소득 향상 지원 방안도 내놓았다.

해평 주민들이 우려하는 상수원 보호구역 규제 지역 확대는 없으며, 갈수기 물이 부족할 때는 대구 공급을 않기로 해 걱정을 덜었다.

이번 통합물관리방안에 따라 낙동강의 먹는 물 갈등 해결을 위한 단초는 마련된 셈이다. 하지만 일부 주민과 환경 단체들의 반발이 여전해 공사 착공까지는 순탄치 않을 전망이다.

특히 김천과 영주 등 상류지역 산업단지에서 배출되는 오염수와 중금속 폐수도 적지 않아 수질 사고 위험을 안고 있다는 점도 해결 과제다. 환경 당국의 철저한 관리가 요망된다.

환경부의 운문댐 물 울산 공급 결정도 문제 소지가 없지 않다. 운문댐 물을 공급받고 있는 수성구 주민들의 반대가 만만찮기 때문이다. 또 다른 갈등 요인이 될 수 있다. 대구시는 운문댐 물의 여유 수량만 공급하고 두 차례 타당성 용역을 진행해 결정할 것이라고 했지만 수성구민들은 별로 탐탁찮은 분위기다.

환경부장관은 이날 이해 관계 주민들과 더 소통해 공감을 이끌어 내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대구취수원 이전을 둘러싼 지역 갈등은 5년을 끌어왔다. 환경부는 그동안 뾰족한 해결책을 내놓지 못했다. 립 서비스가 되지 않길 바랄 뿐이다. 대구시민들은 하루라도 빨리 맑은 물을 먹기를 원한다.



홍석봉 기자 dghong@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