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고 나면 안전사고로 애꿎은 생명을 잃는다. 안전사고의 대부분은 안전불감증 탓이다. 언제까지 이런 후진국 형 안전사고로 귀중한 인명을 잃는 어처구니없는 일을 되풀이해야 하나. 광주 재개발 현장의 건물 붕괴 사고는 광주만의 일이 아니다. 대구 건축물 철거 현장도 곳곳에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뒤늦게 현장 점검을 한다고 야단법석이다. 광주 사례를 타산지석 삼아야 한다. 정부와 지자체는 안전 관리와 지도 점검을 철저히 해 더 이상 안전사고가 없도록 해 주길 바란다.

광주 참사는 안전불감증과 당국의 관리·감독 소홀의 합작품으로 드러났다. ‘예고된 참사’였다. 지난 2019년 4명의 사상자를 낸 서울 서초구 잠원동의 철거 건물 붕괴 사고 등 유사 사례가 이미 수차례 발생했다. 하지만 건물 철거 현장의 문제점이 전혀 개선되지 않았다.

아슬아슬한 건축물 철거 현장이 대구에만 143곳으로 나타났다. 철거 현장마다 엉성한 그물 펜스가 고작이다. 가림막도 흉내만 낸 곳이 적지 않다. 당장 사고가 나도 이상하지 않을 곳이 수두룩하다. 철거 중인 건물 사이 도로를 지나다니는 주민들은 언제 건물이 무너지거나 철거 잔해물과 시설물이 머리 위로 떨어질지도 몰라 불안하다. 광주 참사가 남의 일이 아니다.

대구시는 14일부터 18일까지 대구 지역 철거 현장 143곳에 대해 합동 점검에 나섰다. 건물 철거 시 해체 순서 이행, 주변 인명피해 우려 시설 이전 등 안전 조치, 해체 감리자 규정 이행 등 안전 관리 대책이 제대로 시행되고 있는지 점검한다.

건축 및 건설 현장 등에서 빈발하는 안전사고는 우리 사회에 만연한 안전 불감증 탓이 크다. 사고만 나면 각종 대책이 쏟아지지만 돌아서면 그만이다. 사후약방문격이라도 비슷한 유형의 안전사고는 없어져야 한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아무리 안전을 외쳐도 현장에서 외면하면 소용이 없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대선 당시 ‘안전 때문에 눈물짓는 국민이 단 한 명도 없게 만들겠다’고 했다. 하지만 대통령 임기가 1년도 채 남지 않은 지금 그 약속은 공약(空約)이 되고 말았다.

공사 현장의 안전 자물쇠를 단단히 채워야 한다. 일벌백계도 필요하다. 안전 의무 위반 시 당사자는 물론 관리자 등의 처벌을 대폭 강화해 안전에 빈틈이 없도록 해야 한다.

국민의 안전의식도 손봐야 한다. 안전 교육을 강화, 안전 경각심을 높이고 안전을 생활화해야 한다. 또한 현장 근로자 교육 등과 함께 감시·감독 등 철저한 안전 관리로 더 이상의 안전사고는 막아야 한다. 어이없이 생명을 잃는 일은 없도록 해야 한다.



홍석봉 기자 dghong@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