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추적-인사이드/ 개최도시 기대효과

발행일 2021-05-26 13:25:40 댓글 0 글자 크기 키우기 글자 크기 줄이기 프린트
아시안게임은 국내에서는 1986년 서울, 2002년 부산, 2014년 인천 등 이미 세 차례 개최됐다. 그리고 그때마다 대회 유치나 개최를 전후해서 늘 긍정적, 부정적 측면을 두고 논란이 있었다.

사실 오늘날의 국제스포츠 행사는 ‘돈 잔치’라고 불릴 정도로 막대한 비용이 들어간다. 2019년 ‘2030년 아시안게임 공동유치’를 추진했던 충청권은 당시 대회 개회 비용을 대략 1조1천억 원에서 1조5천억 원이 들 것으로 추산했다. 그래서 국제종합 스포츠대회는 대회를 잘 치러놓고도 대회 이후 빚만 늘게 됐다는 비판을 받기 일쑤다.

그러나 이런 부정적 시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회로 인한 경제적 파급효과가 적지 않은 것 또한 분명한 사실이다. 대회를 준비하는 과정에 들어가는 투자 비용이 결과적으로 지역경제에 흘러 들어가 활력의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장 가까운 예로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이 있다. 인천시는 당시 아시안게임 유치로 20조 원에 달하는 경제효과와 27만 명의 고용유발효과를 거뒀다고 발표했다. 경기장 건설과 주변 시설 조성에 3조 원, 도로 신설 및 확장 등에 1조5천억 원, 대회 운영비로 3천억 원이 투입됐으며, 이외에 파급효과 가치가 생산유발효과 13조 원, 부가가치유발효과 5조6천억 원 등에 달했다고 했다.

특히 여기에는 교통망 구축 사업이 포함돼 있다. 부산은 2002년 아시안게임을 준비하면서 지하철 3호선, 인천은 도시철도와 도로망 확충 및 신설에 정부의 재정지원을 받았다. 대규모 투자에는 물론 위험 요소도 있다. 무리하게 신축한 경기장은 나중에 활용과 관리비용 측면에서 두고두고 애물단지가 될 수 있으며, 또 투자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과도하게 지방채를 발행할 경우 지자체에 부담이 될 수 있다.

대구·광주 ‘2038 아시안게임 공동유치’ 추진과 관련해서는, 2019년 있었던 충청권 4개 시·도의 ‘2030 아시안게임 공동유치’ 추진 사례가 참고할 만하다.

2019년 2월 충청권 4개 시·도 단체장은 ‘2030 아시안게임 공동유치’ 추진 계획을 발표한 뒤 기본계획 수립과 사전타당성 조사 등을 진행하며 정부에 대회 유치 승인을 신청했다. 그러나 뒤늦게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가 급작스럽게 유치의향서 신청 기한을 변경한 사실을 알게 됐고, 또 이 과정에서 정부와는 대회 준비 상황을 두고 이견이 노출됐다. 결국, 기한 내에 유치의향서를 신청하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지게 됐다.

대회 유치 실패 후에는 4개 시·도 지자체의 일방적 추진과 시민들과의 공감대 형성 노력 부족, 중앙정부 및 정치권의 협조 미흡 등 여러 뒷말이 쏟아졌다.

박준우 논설위원 겸 특집부장

<저작권자ⓒ 대구·경북 대표지역언론 대구일보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