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량제 봉투에 버려서 매립, 소각이 전부||지자체 대책마련하려 해도 경제성 등 난관||전문

▲ 3~4일간 사용해도 되는 1회용 마스크가 쓰레기통에 버려져 있다.
▲ 3~4일간 사용해도 되는 1회용 마스크가 쓰레기통에 버려져 있다.
코로나19 장기화로 버려지는 마스크가 증가하면서 대구시가 폐마스크 폐기를 두고 고심에 빠졌다.

일괄 소각하자니 환경오염 문제가 대두되고 재활용하자니 매뉴얼의 부재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 상황이다.

대구시는 인구 250만 명인 점을 고려, 하루 약 117만 개의 폐마스크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현재 환경부의 폐마스크 처리 매뉴얼은 폐마스크를 종량제봉투에 버리는 것이다. 폐마스크를 재활용할 수 있는 방안은 따로 없다.

종량제봉투에 담겨져 나온 폐마스크의 38%는 땅에 묻히고 23%는 소각된다.

문제는 폐마스크가 환경오염을 유발한다는 점이다.

코로나 바이러스 차단을 위해 필터를 여러 겹 더한 마스크의 주요 재질이 플라스틱 일종인 ‘폴리프로필렌’이다. 소재 특성상 땅에서도 잘 썩지 않는다. 해당 소재가 완전히 썩는데 걸리는 시간은 450년으로 추정되고 있다.

상황이 이렇자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도 폐마스크 재활용에 대해 강구하고 있다.

하지만 △분리배출 실효성 의문 △경제성 △재활용 공정 중 환경오염 가능성 △폐마스크 재활용품의 위생에 대한 여론 수렴 부재 △코로나19의 종식 등 요인으로 인해 이렇다 할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폐마스크를 재활용하려면 시민이 직접 폐마스크 부직포와 코를 고정하는 철심과 끈을 분리해 배출해야 하거나 폐마스크 수집 재활용 업체에서 분리해야 한다.

국민권익위원회가 지난 3월 발표한 ‘일회용 마스크 친환경 사용 및 처리’ 정책제안에 따르면 환경부의 폐마스크 폐기 매뉴얼은 귀걸이 끈을 잘라 돌돌 말아서 비말 노출을 최소화해 버려야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시민이 매일 마스크를 분리 배출하는 것을 실천하기엔 어렵다. 폐마스크를 수집한 재활용 업체에서 분리하는 경우 인건비 등이 많이 들게 된다.

대구시 관계자는 “대구 시민의 의견이 ‘재활용을 하자’는 의견과 ‘찝찝하다’는 의견이 분분해 한 방향으로 정책을 시행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며 “혹여나 폐마스크 분리 배출과 재활용 체계를 구축한다 하더라도 집단면역이 계획대로 이뤄져, 제도가 채 1년도 시행하지 못한다면 일회성 예산 소모라는 지적이 있을 수도 있다”고 했다.

코로나19 초기 지속적인 마스크 착용 캠페인으로 마스크 착용률을 올린 것처럼 이제는 마스크를 올바르게 버리고 폐마스크를 줄이는 홍보도 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계명대 김해동 교수(지구환경학과)는 “폐마스크 재활용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만큼 폐기물을 줄이기 위해 마스크를 3~4일간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폐기물 처리의 지자체 직영과 종량제봉투 가격 인상 등 고규제·고비용의 정책을 통해 폐마스크 폐기물을 줄이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유현제 기자 hjyu@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