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의 ‘눈치보기 행정’으로 도시철도 1호선 월배차량기지 이전 사업이 방향을 잡지 못하고 있다.

지난 2019년 6월부터 진행 중인 ‘월배차량기지 이전 및 후적지 개발사업 타당성 조사 용역’은 지난 3월 말 결과가 발표될 예정이었지만 기약없이 연기됐다. 지난해 말에 이어 두 번째 발표 연기다. 2년이 다 돼 가도록 결론을 내지 못하는 것은 이전 예상지역 주민들의 반발을 의식한 때문이다.

대구시는 지난 1997년 도시철도 1호선 개통 당시 조성한 달서구 유천동 월배차량기지(14만9천여㎡)를 다른 지역으로 옮기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월배기지는 2000년대 들어 인근에 대규모 택지개발이 본격화하면서 전동차 소음, 분진 등 때문에 주민들의 이전 요구가 계속되는 상황이다.

대구시는 이전할 경우 일부 부지는 매각하고 나머지는 공익 목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월배기지 이전은 민선7기 권영진 대구시장의 핵심 공약이다. 대구시는 1호선 종점인 설화·명곡역 인근과 2023년까지 연장되는 경산시 하양읍 하양역 인근, 그리고 기존의 동구 안심차량기지 확장 등 3가지 안을 놓고 고민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거론됐던 대구대캠퍼스(경산시 진량읍) 내 유휴부지로의 이전은 대학 내부 이견, 노선 연장 등으로 인한 과도한 사업비 문제 때문에 제외됐다.

당초 월배기지는 안심기지로의 통합 이전이 유력하게 점쳐졌다. 사업비 측면에서 가장 유리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지난해 하반기 안심 통합이전설이 유포되면서 지역주민들의 거센 반발에 부딪혔다. 동구의회는 최근 통합 이전 반대결의문을 채택하기도 했다.

설화·명곡역 이전 역시 대구시와 주민들의 입장이 엇갈린다. 주민들은 옥포읍 인근 역사 신설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그러나 대구시는 차량기지만 옮겨야 한다는 입장이다.

햐양 이전도 공론화되면 반발 가능성이 다분하다. 유천동 현 기지 주변 주민들은 계속 미루다가 이전이 불발될까 우려하고 있다.

모두 님비 현상이다. 하지만 주민들을 나무랄 수만은 없다. 공동체 전체 발전을 외면하는 소지역주의로 몰아붙일 일도 아니다. 차량기지가 이전되면 해당 지역의 부동산 가치가 평가절하되는 등 현실적으로 재산권 침해 현상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대구시의 접근 자세도 문제다. 주민 반발을 의식해 시간을 끄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확정을 미루면 공정성 시비를 자초하게 된다. 동시에 사업 추진의 동력도 잃게 된다.

다양한 여론수렴 과정을 거쳐 주민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해당 지역이 받아들일 수 있는 현실적 보상과 반대 급부 제공은 필수다.



지국현 기자 jkh8760@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