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표 율사, 오체 투지하며 도를 구해||부처를 만나 계를 얻고 금산사 지어



▲ 후백제 견훤이 아들에게 유폐됐던 금산사에는 많은 문화재가 남아 있다. 진표율사가 창건한 금산사의 국보 제62호로 지정된 우리나라 유일한 통층으로 건축된 3층 법당. 내부에는 미륵삼존불이 모셔져 있다.
▲ 후백제 견훤이 아들에게 유폐됐던 금산사에는 많은 문화재가 남아 있다. 진표율사가 창건한 금산사의 국보 제62호로 지정된 우리나라 유일한 통층으로 건축된 3층 법당. 내부에는 미륵삼존불이 모셔져 있다.


진표율사는 전주 사람이다.

진표는 깨달음을 얻고자 처절할 정도로 몸을 혹사하며 수련했다.

오체를 돌에 던져 팔이 떨어져 나가고 머리에서 피가 터져흘러도 수행을 이어갔다.

이러한 목숨을 버려 정진하는 모습에 지장보살과 미륵보살이 감응해 현신해 계를 줬다는 기록이다.



이런 깨우침을 얻어 진표율사는 금산사를 창건하고, 속리산을 돌아보며 절을 지을 곳을 표시한 다음 제자들에게 그곳에 절을 지어 법을 널리 펼치게 했다.



지금의 법주사가 진표율사에 의해 창건된 길상사라는 이야기가 전해지지만 현재 법주사에서는 그러한 기록이 드러난 곳을 찾기 어렵다.



일연은 기록을 통해 진표율사의 몸을 던져 도를 구하는 점찰법에 대해 주의해서 행해야 할 것이라 경계하기도 했다.





▲ 진표율사가 조성했던 미륵장륙상의 대석으로 추정되는 석련대. 보물 제23호로 지정·관리되고 있다.
▲ 진표율사가 조성했던 미륵장륙상의 대석으로 추정되는 석련대. 보물 제23호로 지정·관리되고 있다.


◆삼국유사: 관동 풍악 발연수 석기

진표율사는 전주 벽골군 도나산촌 대정리 사람이다.

나이 열두 살이 돼 승려가 될 뜻을 가지자 그의 아버지가 이를 허락했다.

진표율사는 순제법사가 머물고 있는 금산의 절로 가서 세속을 떠나 승려가 됐다.

순제가 사미계법을 주고 공양차제비법 한 권과 점찰선악업보경 두 권을 주면서 말하기를 “네가 이 계법을 가지고 미륵과 지장 두 보살 앞에서 간절히 법을 구하고 참회해 직접 계법을 받아 세상에 펴도록 하라”고 말했다.



율사가 가르침을 받들고 작별해 물러 나와 이름 있는 산을 두루 돌아다녔다.

나이 27세 되던 상원 원년 경자(760)에 쌀 20말을 쪄서 말려 양식을 만들어 보안현에 가서 변산에 있는 불사의방으로 들어갔다.

쌀 다섯 홉을 하루 양식으로 삼되 한 홉의 쌀은 덜어서 쥐를 길렀다.



율사가 미륵상 앞에서 부지런히 계법을 구했으나 3년이 되어도 수기를 받지 못하자 결단을 내려 바위 아래로 몸을 던지니 홀연히 푸른 옷을 입은 동자가 율사를 손으로 받들어 바위 위에 모셔 놓았다.





▲ 미륵전 안에 인조 5년(1627)에 동양에서 가장 큰 입불로 조성된 삼존불 및 미륵상과 보살상.
▲ 미륵전 안에 인조 5년(1627)에 동양에서 가장 큰 입불로 조성된 삼존불 및 미륵상과 보살상.


율사가 다시 뜻을 내어 원하는 바를 구해 21일간을 기약하고 밤낮으로 부지런히 수행했다.

돌로 오체를 두드리면서 참회했더니 사흘이 되자 손과 팔뚝이 부러져 떨어져 나갔다.

이레째 되던 밤에 지장보살이 손에 쇠로 된 지팡이를 흔들며 와서 가호하니 손과 팔이 전과 같이 됐다. 보살이 드디어 가사와 바리떼를 줬다.



율사는 영험이 따르는 것에 감복해 더욱더 정진했다.

21일이 되자 바로 천안을 얻어 도솔천의 무리들이 오는 광경을 보게 됐다.

이때 지장보살과 미륵보살이 율사의 앞에 현신했는데 미륵보살은 율사의 이마를 만지면서 “훌륭하여라. 대장부여, 이처럼 계를 구하기 위해 몸과 목숨까지도 아끼지 않고 간절히 참회하는구나”라고 말했고 지장보살은 계본을 줬다.



미륵보살도 다시 간자 두 개를 줬는데 하나는 9라고 쓰여 있는 것이고 하나는 8이라고 쓰여 있었다.

미륵이 율사에게 말하기를 “이 두 간자는 내 손가락뼈이다. 이것은 시각과 본각의 두 각을 비유한 것이다. 또 아홉 번째 간자는 법이고 여덟 번째 간자는 신훈성불종자이다. 이것으로써 마땅히 인과응보를 알 것이다. 너는 현세의 육신을 버리고 대국왕의 몸을 받아 뒤에 도솔천에 태어날 것이다”라고 했다. 이렇게 말을 마치자 두 보살은 곧 사라지니 때는 임인(762) 4월27일 이었다.







▲ 미륵전 앞 오른쪽에 점판암으로 조성한 육각다층탑. 몸돌 면마다 불상을 선각하고 지붕돌 처마마다 풍령을 달았다. 보물 제27호로 지정돼 있다.
▲ 미륵전 앞 오른쪽에 점판암으로 조성한 육각다층탑. 몸돌 면마다 불상을 선각하고 지붕돌 처마마다 풍령을 달았다. 보물 제27호로 지정돼 있다.


율사가 교법을 받은 후 금산사를 세우고자 산에서 내려왔다.

대연진에 도착했을 때 홀연히 용왕이 나오더니 옥가사를 바치고 8만 권속을 거느리고 금산수로 모시고 가자 사람들이 사방에서 모여들어 며칠 되지 않아 절이 완성됐다.

다시 감응이 있어 미륵보살이 도솔천에서 구름을 타고 내려와 율사에게 계법을 줬다. 율사는 신도들에게 시주를 권유해 쇳물을 부어 미륵장륙상을 만들었다.

또 미륵보살이 내려와 계율을 주는 장엄한 모습을 금당의 남쪽 벽에 그렸다.

갑진(764) 6월9일에 장륙상이 완성됐고 병오(766) 5월1일에 금당에 모시니 이해가 대력 원년이었다.



율사가 금산을 떠나 속리산 골짜기에 도착했다. 길상초가 난 곳을 보고 표를 해둔 후 명주 해변으로 돌아와 천천히 가는 도중에 물고기와 자라 등이 바다에서 나와 율사의 앞을 향하여 몸을 잇대어 엮어 육지처럼 만들어 줬다. 율사가 그들을 밟고 바다 속으로 들어가 계법을 외워주고 되돌아왔다. 그가 고성군으로 와서는 개골산에 들어가 처음으로 발연수를 세우고 점찰법회를 열었다.





▲ 보은 법주사의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유일한 목조탑 팔상전이다. 국보 제55호다. 신라시대 건축한 것으로 전해지며 밑면이 정사각형으로 5층 목조건물이다. 임진왜란 때 불에 타 선조 38년(1605)부터 인조 4년(1626)에 걸쳐 다시 세웠다. 석가모니의 일생을 여덟 장면으로 나누어 그린 팔상도를 모시고 있다.
▲ 보은 법주사의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유일한 목조탑 팔상전이다. 국보 제55호다. 신라시대 건축한 것으로 전해지며 밑면이 정사각형으로 5층 목조건물이다. 임진왜란 때 불에 타 선조 38년(1605)부터 인조 4년(1626)에 걸쳐 다시 세웠다. 석가모니의 일생을 여덟 장면으로 나누어 그린 팔상도를 모시고 있다.


그곳에 머무른지 7년 되는 때에 명주 지방에 흉년이 들어 사람들이 굶주렸다. 율사가 이들을 위하여 계법을 설하니 사람마다 받들어 지니면서 삼보에 극진히 공경했다. 얼마 후 갑자기 고성해변에 수없이 많은 물고기들이 저절로 죽어서 나왔다. 사람들이 이것을 팔아서 먹을 것을 마련해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



율사가 발연수를 떠나 다시 불사의방으로 갔다.



그후에 집이 있는 고을에 가서 아버지를 찾아뵙기도 하고 진문대덕의 처소에 머물기도 했다.



이때 속리산의 큰스님인 영심대덕이 융종대적, 불타 등과 함께 율사가 있는 곳에 와서 청하기를 “우리들이 천리를 멀다 않고 와서 계법을 구하오니 법문을 주소서”라고 했다.



율사가 잠자코 아무런 대답도 하지 아니하자 세 사람은 복숭아나무 위로 올라가 거꾸로 땅에 떨어지며 용맹스럽게 참회했다.

율사가 그제야 교를 전해 관정을 해주며, 드디어 가사와 바리때, 공양차제비법 한 권과 점찰선악업보경 두 권, 간자 189개를 줬다.





▲ 법주사 사천왕문. 신라 혜공왕 때 처음 세우고, 조선 인조, 고종 때 각각 중수했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6호.
▲ 법주사 사천왕문. 신라 혜공왕 때 처음 세우고, 조선 인조, 고종 때 각각 중수했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6호.


“내가 너희들에게 이제 줬으니 이것을 가지고 속리산으로 돌아가면 길상초가 난 곳이 있을 것이다. 그곳에 절을 세우고 이 교법에 의해 널리 인간계와 천상계의 중생들을 제도하고 후세에 전파하라”라고 말했다.



영심 등이 가르침을 받들어 즉시 속리산으로 가서 길상초 난 곳을 찾아 절을 세우고 길상사라고 칭했다.

영심이 여기서 처음으로 점찰법회를 열었다.



율사는 그의 아버지와 함께 다시 발연수에 가서 같이 도를 닦으며 끝까지 효도했다.

율사는 세상을 떠날 때 절의 동쪽에 있는 큰 바위에 올라가 입적했다.

제자들이 진표의 유해를 옮기지 않고 공양하다가 해골이 되어 흩어져 떨어질 때가 돼서야 흙으로 덮어 묻고 이로써 무덤을 만드니 곧 푸른 소나무가 났다. 세월이 오래 지나자 말라 죽고 다시 나무 하나가 나고, 그 후 또 한 그루가 자라났는데 두 그루의 뿌리는 하나였다. 지금까지도 두 그루의 나무가 쌍으로 서 있다.



▲ 신라 성덕왕 때 조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법주사 쌍사자석등으로 국보 제5호로 지정·관리되고 있다.
▲ 신라 성덕왕 때 조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법주사 쌍사자석등으로 국보 제5호로 지정·관리되고 있다.


◆새로 쓰는 삼국유사: 진표율사와 범마실

진표율사는 목숨을 도외시하고 처절하게 자신의 몸까지 학대해가며 기도를 올리며 수행하는 법승으로 유명하다.

율사가 자신의 팔이 떨어져 나가고, 이마에서 피가 철철 흐르도록 오체를 바위에 던져가며 기도를 올려 드디어 미래불을 만나 금산사를 지었다.



율사는 드디어 천안통을 얻어 가만히 앉아서 천리 밖을 내다보는 힘을 가지게 됐다. 율사는 미래불을 만났지만 현세에서 편안한 삶을 얻고자 수련에 더욱 정진하면서 주변 사람들의 삶에도 깊은 관심을 가졌다.



금산사가 위치한 모악산 남쪽계곡에 범이 출몰하는 범마실이 있었다. 범마실에 다섯 아들을 둔 과수댁은 매일 떡을 팔아 연명했다. 새벽에 일어나 떡을 빚어 이마 위에 이고는 백리길을 발이 부르트도록 걸어 떡을 팔아 생필품을 샀다.



어느 날 밤이 이슥하도록 떡을 못다판 과수댁이 지친 다리를 끌며 집으로 돌아오는데 마을 입구에서 범을 만났다.

모악산의 대장 범이었다. 과수댁은 황소만한 범이 큰 입을 벌리는 것을 보고 놀라 그 자리에 주저앉아버렸다.



범이 과수댁을 삼키기 직전에 푸른 빛과 함께 뭉클한 바람이 범의 목을 두드렸다. 뒤로 한발 물러선 범이 과수댁 뒤에 우뚝 서 있는 육환장을 보았다. 육환장은 진표율사가 들고 다니는 물푸레나무로 만든 지팡이였다. 이어서 “이제부터는 사람을 잡아먹으는 안된다”는 묵직한 말이 범의 귀를 파고들었다.





▲ 법주사 서편의 바위에 새겨진 고려시대 대표적인 마애불이다. 높이 6m 대형 조각이다. 법주사 마애여래의좌상으로 보물 제216호.
▲ 법주사 서편의 바위에 새겨진 고려시대 대표적인 마애불이다. 높이 6m 대형 조각이다. 법주사 마애여래의좌상으로 보물 제216호.


흰 수염이 가슴 아래까지 내려온 진표율사의 얼굴이 육환장 뒤에서 커졌다 작아졌다 하면서 범의 시야에 가득찼다. 범은 자신의 힘으로 어찌할 수 없는 위엄을 느끼고 다시는 사람을 헤치지 않겠다고 다짐하며 꼬리를 내렸다.



과수댁도 정신을 가다듬고 일어나 진표율사에게 삼배를 하고 고개를 들자 율사는 빙긋 웃고는 금산사 쪽으로 사라졌다. 과수댁은 범에게 남은 떡을 던져주고는 천천히 걸어 집으로 돌아왔다.



그 다음부터 왕범은 범마실 사람들이 밤늦게 귀가하는 길을 지켜주는 길 안내자가 됐다. 마을 사람들은 과수댁 이야기를 듣고는 모두 금산사를 찾아가 소원을 빌었다. 그리고 그 소원은 하나씩 이뤄졌다.



범마실 이름이 그 이후 금산사에 원을 하면 이루어지는 마을이라 하여 청원마을로 바꿨다. 청원마을 사람들은 모두가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는 어김없이 금산사를 찾아 기도를 올렸다.



*새로 쓰는 삼국유사는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해 픽션으로 재구성한 것으로 역사적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강시일 기자 kangsy@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