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새해 농촌 인력 수급 대책을 발표했다. 코로나19로 외국인 계절 근로자 등 농촌 인력 수급 차질이 심각해진데 따른 것이다. 인건비도 상당 폭 올랐다. 이에 경북도는 농촌인력지원센터를 늘리기로 하는 등 내국인 공급 확대 대책을 마련했다. 하지만 도시의 유휴 인력을 농촌 일자리로 연결하는 것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젊은층과 은퇴자의 귀농·귀촌 활성화 등 방안을 찾아야 한다.

지금 농촌은 고령화로 일손 부족이 한계에 달했다. 그나마 지탱해 주던 외국인 근로자도 코로나19로 인해 국내 입국이 어려워지면서 수급 차질을 빚고 있다고 한다. 이에 농정 당국이 농촌인력지원센터 활용을 확대하는 쪽으로 눈을 돌리고 있는 모양새다.

경북도는 지난 6일 내국인 인력 공급 확대를 위해 기존에 운영하고 있는 13곳의 농촌인력지원센터를 청송과 봉화 두 곳을 추가, 모두 15곳으로 늘리기로 했다. 지원센터를 통해 경북 도내 실업자 등 유휴인력을 모집해 필요 농가에 배정키로 했다.

또 청도를 제외한 22개 시·군에 농촌인력중개센터 24곳을 설치, 운영키로 했다. 중개센터는 대구 등 장거리 도시 구직자와 농촌체류형 구직자를 농가와 연결하는 방식으로 국비와 시·군비를 투입해 진행된다. 지난해 첫 시작된 국민 참여형 일손 돕기 운동도 지속 추진한다.

물론 외국인 근로자 확보를 손 놓은 것은 아니다. 외국인 계절근로자 파견 제도를 도입한다. 소규모 외국인 인력을 필요한 농가에 안정적으로 지원하고, 국내 체류 외국인에 대해 자격 외 활동 허가를 요청, 농촌에서 일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할 방침이다. 외국인 계절 근로자 입국 시 필요한 자가 격리 시설 확보 등에도 신경 쓰기로 했다.

하지만 농촌인력중개센터를 이용한 인력 공급도 연간 수십 명에서 많아야 수백 명이 고작이다. 이것만으로는 ‘언 발에 오줌 누기’ 격에 불과하다. 대폭 늘릴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민간 차원의 도농 인력 교류 센터를 설립, 공급을 크게 늘리는 방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농사일에 어느 정도 숙련된 인력을 공급해야 한다. 교육과 훈련도 필요하다. 급증하는 도시 실업자와 농촌 인력 부족의 불균형을 맞춰 주는 일은 누이좋고 매부좋은 일이다.

귀농·귀촌 활성화도 한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코로나19로 농업과 농촌의 가치가 급상승하고 있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의성 등의 성공사례에서 보듯 농업에 관심 있는 젊은층의 유입에도 더욱 신경쓰야 할 것이다. 타 시도에 비해 농업 비중이 큰 경북도가 새로운 돌파구를 찾길 바란다.



홍석봉 기자 dghong@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