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오후 11시까지 연장 발표 믿고 식재료, 알바 준비했는데||정부 영업시간 연장 자율

▲ 18일 오후 대구시청 앞에서 관계자들이 자영업자들이 제출한 영업시간 완화 호소문을 들어보이고 있다. 지역 자영업자들은 이날 방역당국에 밤 11시까지로 영업시간을 완화해달라고 호소했다. 연합뉴스
▲ 18일 오후 대구시청 앞에서 관계자들이 자영업자들이 제출한 영업시간 완화 호소문을 들어보이고 있다. 지역 자영업자들은 이날 방역당국에 밤 11시까지로 영업시간을 완화해달라고 호소했다. 연합뉴스
대구시가 18일부터 식당 등 다중이용시설 영업시간을 오후 11시까지 연장키로 했다가 하루만에 오후 9시로 바꾼것을 두고 상인들과 시민들의 비난이 거세다.

소상공인들은 설을 앞두고 대구시의 발표만 믿고 장사준비를 해 두었는데 영업시간 연장을 철회하자 망연자실했으며 호소문까지 냈다.

대구 북구청과 서구청 등 일선 구청에서는 18일 오전부터 영업시간이 오후 11시까지 인지 오후 9시까지 인지를 묻는 전화가 잇따랐다.

상인들은 지난 16일 대구시 발표만 믿고 식재료를 주문하고 종업원도 구했는데 하루만에 번복한 것은 무책임한 처사라고 질타했다.

소고기집 직원 손모(40대·남구)씨는 “오후 11시까지 연장된다 해서 종업원을 한 명 더 구하기로 했다. 구한 종업원에게 무슨 말을 해야 할지 모르겠다”며 “또 사장이 고기·야채·술 등을 지난주 대비 20~30% 더 많이 주문했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수성구에 한 헬스장도 18일부터 시설 이용 시간 연장 소식을 문자 메시지로 회원들에게 전했으나 헛수고가 됐다.

헬스장 관계자는 “회사 퇴근 후 헬스장에 들리는 직장인들이 다수인데 1~2시간 차이가 어마어마하다”며 “이러다가 운동 기계가 아예 녹슬 판국”이라고 꼬집었다.

수성구 두산동 카페 사장 박모(29‧대구 수성구)씨는 “정부에서 지자체 권한을 뺏는 것은 옳지 않다. 대구형 방역수칙이 있는 것처럼 각 시가 다를 수도 있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동성로에서 일식집을 운영하는 장모씨는 “‘줬다가 뺏는 격’이다. SNS 등을 통해 영업시간 변경(오후 11시까지)을 알리고 테이블을 준비했는데...”라며 말을 흐렸다.

대구시 소상공인 자영업자들은 이날 호소문을 내고 “중대본에서 지자체 재량인 영업금지 시각과 집합금지 시설 결정권 등을 모두 회수해 대구형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를 뒤집었다”며 “오후 9시와 11시, 단 2시간이지만 소상공인 자영업자들에겐 생존권이 걸린 시간이다”고 강조했다.

호소문은 이날 오전 2시께 지역민 정보공유 소셜미디어(SNS) ‘실시간 대구’에 올랐으며 글은 올라온 지 12시간 만에 5천여 개의 공감을 받고 30만 명 이상이 공유한 것으로 집계됐다.

앞서 대구시는 지난 16일 오전 총괄방역대책단 회의를 열고 노래연습장과 음식점, 실내 스탠딩공연장 등 다중이용시설의 영업시간을 정부안인 오후 9시보다 2시간 늘려 오후 11시까지 허용하는 ‘대구형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을 발표했다.

그러나 시행을 불과 몇시간 앞둔 17일 오후9시께 정부의 방침에 따라 영업시간을 오후 9시까지 재조정했다.

대구시 측은 “다중이용시설 영업시간은 당초 지자체의 자율이기 때문에 전문가들과 논의끝에 오후 11시까지 연장하는 것으로 결정했다”며 “하지만 정부에서 갑자기 영업시간은 완화 불가라는 지침을 바꿔 17일 저녁께 공문으로 발송하는 바람에 정부 지침을 따를수 밖에 없었다”고 해명했다.

대구시가 18일부터 식당 등 다중이용시설 영업시간을 오후 11시까지 연장키로 했다가 하루만에 오후 9시로 바꾼것을 두고 상인들과 시민들의 비난이 거세다.

소상공인들은 설을 앞두고 대구시의 발표만 믿고 장사준비를 해 두었는데 영업시간 연장을 철회하자 망연자실했다.

대구 북구청과 서구청 등 일선 구청에서는 18일 오전부터 영업시간이 오후 11시까지 인지 오후 9시까지 인지를 묻는 전화가 잇따랐다.

상인들은 지난 16일 대구시 발표만 믿고 식재료를 주문하고 종업원도 구했는데 하루만에 번복한 것은 무책임한 처사라고 질타했다.

소고기집 직원 손모(40대·남구)씨는 “오후 11시까지 연장된다 해서 종업원을 한 명 더 구하기로 했다. 구한 종업원에게 무슨 말을 해야 할지 모르겠다”며 “또 사장이 고기·야채·술 등을 지난주 대비 20~30% 더 많이 주문했다. 이미 숙성에 들어간 고기는 이틀 안에 팔아야 하기에 손실이 불가피하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수성구에 한 헬스장도 18일부터 시설 이용 시간 연장 소식을 문자 메시지로 회원들에게 전했으나 헛수고가 됐다.

헬스장 관계자는 “회사 퇴근 후 헬스장에 들리는 직장인들이 다수인데 1~2시간 차이가 어마어마하다”며 “이러다가 운동 기계가 아예 녹슬 판국”이라고 꼬집었다.

수성구 두산동 카페 사장 박모(29‧대구 수성구)씨는 “정부에서 지자체 권한을 뺏는 것은 옳지 않다. 대구형 방역수칙이 있는 것처럼 각 시가 다를 수도 있는 것 아니냐”며 “오후 9~11시는 자영업자들에게 제일 매출이 높은 시간인데 이렇게 또 말을 바꾸니 화가 날 지경”이라고 혀를 내둘렀다.

동성로에서 일식집을 운영하는 장모씨는 “‘줬다가 뺏는 격’이다. SNS 등을 통해 영업시간 변경(오후 11시까지)을 알리고 테이블을 준비했는데 갑자기 오후 9시로 바뀌니까 어이가 없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앞서 대구시는 지난 16일 오전 총괄방역대책단 회의를 열고 노래연습장과 음식점, 실내 스탠딩공연장 등 다중이용시설의 영업시간을 정부안인 오후 9시보다 2시간 늘려 오후 11시까지 허용하는 ‘대구형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을 발표했다.

전국적으로 특별방역 대책기간이 장기화됨에 따라 지역 내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고 시민들이 방역수칙을 잘 지키고 있다는 것이 명분이다.

그러나 시행을 불과 몇시간 앞둔 17일 오후9시께 정부의 방침에 따라 영업시간을 오후 9시까지 재조정했다.

대구시 측은 “다중이용시설 영업시간은 당초 지자체의 자율이기 때문에 전문가들과 논의끝에 오후 11시까지 연장하는 것으로 결정했다”며 “하지만 정부에서 갑자기 영업시간은 완화 불가라는 지침을 바꿔 17일 저녁께 공문으로 발송하는 바람에 정부 지침을 따를수 밖에 없었다”고 해명했다.



이주형 기자 leejh@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