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통합신공항은 저비용 항공사 중심의 경제성 높은 물류공항으로 육성돼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또 “대구·경북 행정통합은 지역 혁신의 마중물이고, 지역 발전의 새로운 탈출구”라는 의견이 제시됐다.

‘통합신공항’과 ‘행정통합’은 대구·경북 발전의 가장 중요한 당면 과제다. 두가지 주제를 다룬 ‘2020 대구·경북 그랜드포럼’이 지난 27일 경북도청 동락관에서 열렸다.

대구일보가 주최한 이날 포럼의 대주제는 ‘대구·경북 미래의 길을 묻다’였다. 지역의 중장기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주제다.

세션1은 ‘대구·경북 통합신공항시대, 어떻게 맞이할 것인가’를 주제로 잡았다. 참가 패널들은 “저비용 항공 중심으로 아시아 항공시장이 개편될 것”이라며 “증가하는 수요를 담을 수 있는 그릇이 지역에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계적 흐름에 따라 통합공항 역시 성장 가능성이 크다는 이야기다.

또 앞으로 항공시장은 대형 항공기가 단거리를 가는 시스템이 아니라 소형 항공기가 먼 거리를 가는 형태로 개편될 것으로 분석했다. 그간 지방공항은 장거리 수요 분산, 대형 항공기 미취항 등으로 장거리 여객 및 화물이 외면받았다. 그러나 앞으로는 지방공항에서 전세계로 여행이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통합신공항의 좌표는 ‘국제물류 내륙거점 공항’이다. 온라인 상거래, 국제특송 등 국제화물 처리 능력이 필수라는 이야기도 강조됐다.

세션2의 주제는 ‘대구·경북 행정통합으로 밝히는 상생의 미래’였다. 행정통합을 통해 지방소멸 위기를 극복하고 세계와 경쟁할 수 있는 틀을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 최근 설득력을 얻고 있다.

그러나 ‘행정통합으로 무엇을 이룰 것인가’에 대한 가치와 목표가 설정되고 공유되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는 주장이 나왔다. 당연한 지적이다. 비전 제시와 함께 주민 공감대 형성을 최우선 순위에 둬야 한다는 것이다.

광역 행정통합 논의는 대구·경북에서 시작돼 전국으로 확산하는 모양새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27일 “정부도 제도적·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2022년 지방선거 이전까지 결과가 나와야 한다는 시한에 사로잡혀 논의가 졸속으로 이뤄져서는 안된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경북북부를 중심으로 확산하는 반대 목소리에도 귀를 기울여야 한다.

변화의 물결에 누가 먼저 적응할 수 있느냐가 생존의 관건이다. 지역도 예외일 수 없다. 포럼에서는 향후 시도민들이 논의를 이어갈 수 있는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관련 논의를 활성화 시킬 계기가 될 것이다. 다듬고 보완해 지역 발전의 밑거름이 되게 해야 한다.



지국현 기자 jkh8760@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