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부터 대구시·시민단체 구름다리 사업 놓고 대립||시민단체 측, 생태계 훼손 분명,

▲ 대구참여연대 등 7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팔공산 막개발 저지 대책위원회가 2018년 11월 대구시청 앞에서 구름다리 개발 사업을 반대하는 집회를 열었다.
▲ 대구참여연대 등 7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팔공산 막개발 저지 대책위원회가 2018년 11월 대구시청 앞에서 구름다리 개발 사업을 반대하는 집회를 열었다.
팔공산 구름다리 건설 사업을 둘러싼 대구시와 시민단체의 갈등은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다.

2015년 대구시가 팔공산 케이블카 정상과 낙타봉을 잇는 320m 길이의 팔공산 구름다리 설치안을 처음 냈을 때부터 생태계 훼손 등을 이유로 시민단체는 격렬히 반대해 왔다.

코로나19 등으로 사업이 연기되며 한동안 잠잠하던 갈등은 최근 대구시가 사업 재개 의사를 밝히며 재점화됐다.

특히 이번에는 주민들도 갈등에 합세하며 판이 커지고 있다.

대구참여연대와 대구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대구환경운동연합 등 7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팔공산 막개발 저지 대책위원회’가 구름다리 건설을 반대하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환경파괴다.

시민단체에 따르면 팔공산은 수달, 담비, 하늘다람쥐 등 멸종위기종 12종을 비롯해 총 4천739종의 생물이 살아가는 생태계의 보고다.

시민단체 측은 “구름다리가 지어질 팔공산 능선 쪽은 야생동식물의 서식처로서 생태적으로 민감한 구간인데 비단 나무 수백여 그루를 벌목하는 문제가 아니다”라며 “산 정상부의 경관미 훼손은 물론 생태계 교란과 서식지 파괴가 가속화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대구시의 사업성 평가 또한 엉터리라고 주장했다.

대구시는 구름다리가 완공되면 연간 500만 명이 이용할 것으로 예측했다.

대구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이 같은 수치는 국내 주요 구름다리 현황과 일부 잘되는 시설의 관광객 유치 효과를 참고자료로 제시했을 뿐, 정작 수요 예측의 객관적인 근거는 제대로 제시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 김경환 팔공산상가번영회장이 팔공산 구름다리에 대한 시민단체 주장이 지나치게 과장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 김경환 팔공산상가번영회장이 팔공산 구름다리에 대한 시민단체 주장이 지나치게 과장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난 24일 김경환 팔공산상가번영회장이 시민단체 측의 주장을 반박했다.

팔공산 일대 주민들은 시민단체의 주장이 지나치게 과장됐다고 주장했다.

김경환 팔공산상가번영회장은 “팔공산 일대 주민들은 30년을 변변한 인프라 조성 없이 참고 살아왔다”며 “구름다리 개발은 그들에겐 이념의 문제겠지만 우리에겐 삶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그는 “그동안 시민단체의 요구대로 대상이 아님에도 환경영향평가를 수용했고, 원탁회의를 해서 시민들의 67% 찬성까지 이끌어냈다”며 “이젠 무엇을 핑계대며 사업의 발목을 잡으려는지 궁금하다”고 말했다.

환경 파괴에 대한 주장도 반박했다.

그는 “팔공산의 면적은 122.1㎢로 3천700만 평에 달한다. 320m 구름다리를 설치한다고 해서 자연경관이 훼손되고 환경이 파괴될 만큼 작은 동네 뒷산이 아니다”며 “구름다리가 건설되면 등산객이 구름다리로 집중돼 무분별한 수백 개의 등산로 중 상당수가 폐쇄되는 등 오히려 자연을 복원하고 환경과 생태계에 이로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김 회장은 “시민단체의 입장은 존중하지만 인간과 자연을 무조건 차단하는 것이 능사는 아니다. 자연과 함께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가야 한다”고 전했다.





이승엽 기자 sylee@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