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경제기관장 공모와 관련, 뒷말이 무성하다. 대구시와 경북도 산하 기관단체장 공모 때마다 사전 내정설이 불거지고 있고 낙하산 논란이 계속되는 데도 개선 기미는 보이지 않는다. 산하 공기업 기관장을 낙하산 인사로 채우는 악순환이 우려되는 상황이 됐다.

경제기관장은 관련 법과 조례 등에 따라 대부분 공모 절차를 거쳐 임명한다. 모두 대구시장과 경북도지사가 임명권을 갖고 있다. 하지만 공모는 형식절차에 그치는 등 요식행위로 흐르기 십상이다. 업무 관련 전문성보다 단체장 측근 인사가 낙점되기 일쑤인 등 정치적 역학관계와 충성도 등에 따라 선임되는 것이 거의 관례화되다시피 하고 있기 때문이다.

수 십여 개 자리 중 상당수는 시도지사 측근 인사 등으로 채워진다. 전문가는 구색용으로 전락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경제기관장 임기만 다가오면 후임 인사에 대한 내정설이 흘러나오는 판국이다.

현재 대구·경북에서 기관장 공모가 이뤄졌거나 예정인 곳은 대구·경북디자인센터(디자인센터), 대구테크노파크(대구TP), 경북테크노파크(경북TP), 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DIP) 4곳이다.

후보 공모 후 후보자 심사까지 마무리됐는데도 단체장의 의중에 있는 인사를 선임하기 위해 재공모 설이 흘러나오는 기관이 있다. 또 한 기관의 경우 다른 산하 기관단체장을 지낸 인사가 중도 사퇴 후 21대 총선에 출마했다가 낙선하자 자리를 마련해 주려고 한다는 얘기가 나돌고 있다. 한 대구시 산하 경제 공기업 기관장 자리에는 대구시장 선거참모를 지낸 측근 인사 2명이 유력하다는 설이 파다하다. 하지만 이들은 해당 기관의 주 업무와 관련된 전문성과는 거리가 먼 인물들이다. 이들 중 1명이 선임될 경우 ‘낙하산 인사’ 논란에 휘말릴 소지가 많다.

시도의 산하 기관은 대개 수장의 능력 여하에 따라 기관의 발전 여부가 담보된다. 그렇기 때문에 기관장의 전문성과 역량이 중요한 선택의 가늠자가 돼야 한다. 하지만 퇴직 공무원이나 시도지사 측근 인사로 채워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보니 인사때마다 잡음이 일 수밖에 없다.

광역단체장의 경우 선거를 치르고 나면 자신을 도와준 측근과 참모들의 자리를 챙길 수밖에 없다. 하지만 산하 기관장 자리가 무조건 논공행상의 보상책이 되어서는 곤란하다. 필요한 최소한에 그쳐야 한다.

사상 유례가 없는 코로나19 사태로 위기에 빠진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라도 산하 기관단체장에는 역량 있는 관련 전문가를 선임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역민들도 낙하산 여부를 눈을 부릅뜨고 지켜봐야 한다.



홍석봉 기자 dghong@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