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그린 뉴딜에 선제적 대응 위해 공론의 장 필요||그린 뉴딜 관련 육성사업과 지원 방

▲ 대구경북연구원.
▲ 대구경북연구원.
정부의 ‘한국판 뉴딜정책’에 대구·경북이 발 맞춰 가려면 지역 각계각층의 역량을 결집시킬 수 있는 공론의 장이 필요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대구경북연구원(이하 대경연)은 24일 대경CEO브리핑 제623호 ‘대구·경북 그린 뉴딜, 지역포럼과 함께 출발’을 통해 정부의 ‘그린 뉴딜정책’에 대구·경북이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한 ‘대구·경북 그린뉴딜포럼’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대경연에 따르면 지난달 14일 발표된 ‘한국판 뉴딜정책’은 사회전반, 국가는 물론 지역 모두 변혁의 대상인 동시에 우리사회가 직면한 문제들을 종합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회다.

디지털 뉴딜과 함께 한국판 뉴딜의 한 축인 ‘그린 뉴딜’은 사업비 73조4천억 원을 투입해 일자리 65만9천 개 창출과 더불어 친환경·저탄소 등 그린경제로의 전환 가속화와 경제지반을 친환경으로 전환하는 정책이다.

그린 뉴딜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력이 큰 만큼 주요 도시들은 국가 프로젝트에 발 빠르게 동참하고 있는 상황이다.

서울시는 이미 지난해 12월 ‘서울시 기후변화포럼’을 운영하며 지역사회 체질개선과 함께 대규모 일자리 창출을 위한 밑그림을 마련했으며, 광주시도 ‘광주그린뉴딜포럼’을 구성해 정부 정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대경연은 정부의 그린 뉴딜정책을 대구·경북에 효과적으로 착륙시키기 위해서는 행정, 시·도의회, 지역대학, 연구기관, 시민단체 등 각계의 전문화된 역량을 한곳에 집중할 수 있는 공론의 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가칭 ‘대구·경북 그린뉴딜포럼’이 바로 그 것.

포럼 역할은 그린 뉴딜 관련 중점 육성 지역산업 선정과 지원 방안 논의, 그린 뉴딜로 불가피하게 도태되는 산업 및 계층에 대한 구제·재활 방안 강구 등이다.

대경연은 지역 특성을 고려해 포럼을 그린산업, 그린도시재생, 그린모빌리티, 그린인프라, 그린거버넌스 5개 분과로 나눠 분야별로 학습과 함께 지역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포럼에서 다룰 안건으로 △대구·경북 그린 뉴딜 정책의 시작점인 온실가스저감 목표 조정 △그린 뉴딜의 기초시설인 대구·경북 기후변화센터 공동 설립·운영 △대구·경북 특화 그린 뉴딜 산업의 앵커기능 강화 등을 내세웠다.



이승엽 기자 sylee@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