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 대구 동구에 위치한 대구국제공항의 모습.
▲ 현 대구 동구에 위치한 대구국제공항의 모습.


대구·경북의 100년 대계 사업이라고 불리는 통합신공항 이전이 점차 가시화되며 대구국제공항 후적지 개발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대구공항과 함께 K2 군 공항이 통합신공항 부지로 빠져 나가면 도심 한가운데 무려 694만여㎡(210만 평)에 달하는 거대한 새로운 개발 공간이 풀리게 된다.



마치 고도제한에 걸린 건물들처럼 답답한 나날 속에서 침체의 늪에 빠져든 대구가 이를 계기로 다시 한번 날아오를 수 있을까.



▲ 대구공항 활주로에서 공군 F-15K 전투기가 날아오르는 모습. 대구공항과 활주로를 공유하는 K2 군 공항에서 날아오르는 제트기 소음으로 대구 동구와 북구 주민들은 수십 년째 고통을 호소해 왔다. 연합뉴스
▲ 대구공항 활주로에서 공군 F-15K 전투기가 날아오르는 모습. 대구공항과 활주로를 공유하는 K2 군 공항에서 날아오르는 제트기 소음으로 대구 동구와 북구 주민들은 수십 년째 고통을 호소해 왔다. 연합뉴스


◆대구공항은 왜 떠나야만 하는가.



1961년 4월 개항한 대구공항은 60년 가까이 대구·경북의 거점 공항 역할을 해 왔다.



한때 적은 해외취항 편수와 KTX 개통 등으로 ‘적자 공항의 표본’으로 불리기도 했지만, 2010년대 들어 저가 항공사(LCC)들이 생기며 대구국제공항은 재조명 됐다.



2013년 공항 이용객이 처음으로 100만 명을 돌파한데 이어 지난해에는 무려 450만 명을 돌파하는 등 폭발적으로 성장하며 ‘흑자 공항’으로 전환, 명실상부한 영남권 관문공항으로 자리매김 했다.



특히 전국 유일의 ‘도심 속 공항’으로 시민들은 물론 구미·영천·경산 등 대구 인근 지역은 30분 이내, 경주·포항은 1시간 이내라는 뛰어난 접근성으로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하지만 뛰어난 접근성은 인근 주민들에게는 심각한 소음공해로 돌아왔다.



특히 대구공항과 활주로를 공유하는 K2 군 공항의 전투기들이 뜨고 내리는 소음으로 인해 대구 동구와 북구 주민들이 수십 년째 고통을 겪어오고 있다.



게다가 항공기 안전 문제로 대구시내 대부분 지역에 적용된 건물 고도제한도 도시개발의 큰 걸림돌이었다.



대구시에 따르면 현재 고도제한으로 묶인 곳은 대구공항을 가운데 두고 좌우로 4㎞ 내, 앞뒤로 15㎞ 내 지역이다. 이는 대구 전체 면적의 약 13%에 달한다.



낮게는 지상에서 공중으로 45m(위치에 따라 최대 152m) 까지만 건축물을 지을 수 있도록 개발이 제한돼 있다.



이처럼 대구는 도심 상당 부분이 고도제한구역에 포함돼 노후 도심의 재생사업이나 재개발에도 큰 무리가 따르는 실정이다.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이전사업이 계획대로 진행될 경우 이 같은 문제를 상당 부분 해결할 수 있다는 게 대구시의 설명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소음 피해가 사라져 도시 전반적인 정주 여건이 좋아진다는 점은 물론고도제한 문제가 해결되면 장기적 계획을 세워 원 도심과 연계해 대구 도시공간 전체를 재설계할 수 있다”고 밝혔다.



▲ 올해 초 대구시가 발표한 대구국제공항과 K2 군 공항 후적지 개발계획안. 말레이시아 푸트라자야와 싱가포르 클락키를 롤모델로 삼아 수변도시로 개발하겠다는 계획이다.
▲ 올해 초 대구시가 발표한 대구국제공항과 K2 군 공항 후적지 개발계획안. 말레이시아 푸트라자야와 싱가포르 클락키를 롤모델로 삼아 수변도시로 개발하겠다는 계획이다.


◆20조 원 프로젝트, 수변도시 계획 발표



대구시에 따르면 대구공항 후적지에는 민간이 주도하는 ‘수변도시’가 들어선다.



당장 예상 비용을 확정하긴 어렵지만 최소 20조 원 이상의 비용이 들어갈 것으로 추정된다.



대구시는 신도시 개발 방향을 정하기 위해 말레이시아의 행정수도 ‘푸트라자야’와 싱가포르 ‘마리나베이’를 롤모델로 확정했다.

두 도시 모두 호수와 강을 끼고 있는 수변도시라는 공통점이 있다.



이는 대구공항과 인접한 금호강을 활용해 경제적 가치와 더불어 새로운 도시 브랜드 이미지를 창출하겠다는 대구시의 의지다.



대구시 관계자는 “대구공항이 떠난 자리를 이들 두 도시를 롤모델로 해서 잘 만들어진 미래형 신도시로 개발할 방침이다. 민간이 주도해 신도시를 만들지만 대구시는 미래형 신도시라는 개발방향을 별도로 제시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공항 이전 사업, 어떻게 진행 되나?



대구시는 먼저 구체적인 개발방향을 정하기 위해 올해 세계적인 도시계획 전문가를 대상으로 신도시를 어떻게 꾸밀지를 묻는 아이디어를 공모할 예정이다.



이를 토대로 개발방향, 지역 현황, 군 공항 이전사업 특성 등을 반영한 청사진을 마련한 후 시민 의견 수렴 등 충분한 공론화 과정을 거쳐 세계적인 명품 신도시로 만들어갈 개발 구상을 내놓을 방침이다.



신도시를 개발할 민간업체 등은 내년 대구시가 국방부와 함께 별도 공모한다는 계획이다.



대구시와 국방부는 군 공항 이전 특별법에 따라 K2 이전을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진행한다.



대구시가 통합신공항 건설비용을 국방부에 기부하고 최종 후보지에 통합신공항을 짓되 국방부 소유의 현 부지(현 대구공항)를 넘겨받고 개발해 이전 비용을 충당하는 것이다.



대구공항이 이전하면 대구공항 후적지 및 주변지역에 대한 고도제한은 모두 풀린다. 물론 대구공항이 완전히 옮겨간 직후를 전제로 한다.

이는 공항 일대에 고층 건물을 자유롭게 지을 수 있게 된다는 의미다.



이와 더불어 대구공항과 인접한 그린벨트 지역도 신도시 개발 과정에서 개발 지역으로 풀릴 가능성이 높다고 지역 관계자들은 예측하고 있다.



▲ 통합신공항이 들어설 것으로 보이는 의성군 비안면과 군위군 소보면의 모습. 현재 양측의 의견이 엇갈리며 통합신공항 이전은 난관에 봉착했다. 연합뉴스
▲ 통합신공항이 들어설 것으로 보이는 의성군 비안면과 군위군 소보면의 모습. 현재 양측의 의견이 엇갈리며 통합신공항 이전은 난관에 봉착했다. 연합뉴스


◆공항 이전에 대한 걸림돌은?



대구공항 이전 사업은 ‘기부 대 양여’라는 제한적인 조건에서 진행된다.

이는 바꿔 말하면 대구공항 후적지에서 창출된 경제적 가치를 통해 통합신공항 건설 사업 비용을 충당해야 한다는 것.



그 건설 비용이 적게는 10조, 많게는 20조 원까지 예상되는 등 사업비를 가늠하기조차 힘든 상황에서 그에 부합하는 경제적 가치를 후적지에서 창출하지 못한다면 이는 대구시 차원에서도 엄청난 부담과 재앙이 될 수 있다.



게다가 현재 통합신공항 이전 후보지인 군위군과 의성군이 갈등을 겪으며 대구공항 후적지 개발 사업 또한 동력을 잃고 표류하고 있다.



지금 시작해도 2025년 전에는 이전이 완료되기 힘든데 후보지 결정조차 갈등을 겪으며 귀중한 시간은 계속 흘러가고 있다.



또 후적지가 군사 공항으로 오래 사용돼 레이더에 의한 방사능 오염도 걱정하지 않을 수 없는 데다 혹여나 후적지에서 문화재라도 발견된다면 개발 사업 또한 난관에 봉착할 수 있다.



이대로라면 2030년이 돼도 제대로 첫 삽조차 뜨지 못할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지역 정가 관계자는 “아파트 단지 하나를 개발하는 데도 10년이 걸린다고 하는데 하물며 이번 사업은 대구의 100년 대계 미래공간을 만드는 대 작업이다. 상당히 긴 호흡으로 봐야 할 것”이라며 “2025년에는 후적지 개발이 시작될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현재 이전지 결정이 난항을 겪으며 사업이 계속 늦춰지고 있다. 대구·경북의 미래를 위해서라도 후보지 양측의 양보와 더불어 대구시와 국방부의 통 큰 결단이 필요한 때”라고 조언했다.















이승엽 기자 sylee@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