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일 코로나19 전파 가능성 높은 고위험 시설 QR코드 입장 의무화||해당 업소에

▲ 지난 10일 오후 9시 동성로 한 헌팅포차의 모습. 이날부터 코로나19 전파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 다중이용시설의 전자명부작성이 의무화 된 가운데 일부 업소에서는 QR코드 인증을 두고 혼선을 빚기도 했다.
▲ 지난 10일 오후 9시 동성로 한 헌팅포차의 모습. 이날부터 코로나19 전파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 다중이용시설의 전자명부작성이 의무화 된 가운데 일부 업소에서는 QR코드 인증을 두고 혼선을 빚기도 했다.


▲ 지난 10일 오후 9시 동성로 한 주점의 모습. 이날부터 코로나19 전파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 다중이용시설의 전자명부작성이 의무화 된 가운데 일부 업소에서는 QR코드 인증을 두고 혼선을 빚기도 했다.
▲ 지난 10일 오후 9시 동성로 한 주점의 모습. 이날부터 코로나19 전파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 다중이용시설의 전자명부작성이 의무화 된 가운데 일부 업소에서는 QR코드 인증을 두고 혼선을 빚기도 했다.


코로나19 전파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 다중이용시설에 QR코드를 이용한 전자출입명부 작성이 의무화 된 가운데 대구지역 곳곳에서 QR코드 인증을 두고 업주들과 시민들이 마찰을 빚는 등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전자출입명부는 스마트폰 앱으로 일회용 QR코드(각종 정보를 제공 받는 격자무늬의 2차원 코드)를 발급받아 해당 시설에서 출입 기록 명부를 전자 형태로 작성하는 방식이다.



정부는 지난 10일부터 8개 고위험 시설에 ‘전자출입명부 시스템’을 의무화했다.

대상은 △헌팅포차 △감성주점 △유흥주점 △단란주점 △콜라텍 △노래연습장 △실내 집단운동시설 △실내 스탠딩공연장이다.



하지만 오는 30일까지 계도기간인 탓에 전자출입명부를 준비조차 하지 않은 업소가 있는가 하면, QR코드 인증 도입 자체를 모르거나 시스템 설치와 이용 방법 등에 어려움을 겪는 업소들이 속출하고 있다.



적용 첫 날인 지난 10일 오후 9시 대구 동성로 한 헌팅포차.



포차 안은 손님들로 가득했고 한 종업원이 입구에서부터 입장 차례를 기다리는 손님들을 상대로 발열 체크를 실시하고 있었다 .



하지만 QR코드 입장을 시행하지 않은 채 전자출입명부 대신 수기로 출입 명부를 작성하고 있었다.



한 헌팅포차 직원은 “아직 계도기간이라 다음주 정도 QR코드 시스템을 도입하려 한다”며 “지금 당장 포차에 입장하려는 손님들이 많아 출입자 명부 체크하는 일도 어려운 상태”라고 말했다.



QR코드 이용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는 업소도 많았다.



동성로 한 주점 관계자는 “QR코드 인증에 대한 홍보가 부족한 것 같다”며 “입장하는 손님들에게 일일이 전자출입명부 작성취지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방문 기록이 남기 때문에 대다수의 손님들이 개인 신상이 드러날까 꺼리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20~30대의 젊은 층에 비해 QR코드 사용에 미흡한 중·장년층의 혼선도 가중됐다.

이날 오후 9시 수성구 신매동의 유흥거리. 한 유흥주점 앞에서는 손님과 업주 간 QR코드 인증을 두고 실랑이가 벌어지고 있었다.



업주조차 나이가 지긋한 중년 손님들에게 QR코드 앱 설치와 절차를 설명하기는 쉽지 않은 듯 했다.



10여분 간의 실랑이 끝에 QR코드 입장에 성공한 손님은 “귀찮게 뭘 이런 걸 다 만들어놨냐”며 신경질을 내기도 했다.



한 노래방 업주는 “당장 나조차도 QR코드가 뭔지 잘 모르는 판에 늦게 술 한잔 드시고 가게를 찾아오는 손님들에게 제대로 설명할 자신이 없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같은날 구청 등 관공서에서도 갑작스런 QR코드 입장 전환에 지역민들의 혼란이 야기됐다.



동구청 관계자는 “입구에서 QR코드 입장에 대한 이유와 방법 등을 설명 드리고 있지만, 어르신들 대부분이 이해를 하지 못하고 있다”며 “QR코드 자체가 안 되는 2G폰을 사용하는 분들도 있고, 아예 막무가내로 못 하겠다며 버티는 분들도 있어 곤혹스러운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동현 기자 leedh@idaegu.com
이승엽 기자 sylee@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