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6일부터 정부의 ‘생활 속 거리두기’(생활방역)보다 한층 강화된 형태의 ‘시민참여형 상시 방역체계’ 가동에 나섰다. 시민참여형 방역체계는 정부의 생활방역과 달리 규제 조항이 많아 당분간 코로나19 방역대책을 완화하지 않겠다는 의지가 담겨 있다.

제주(사회적 거리두기 2주 연장)를 제외한 국내 다른 지역과 달리 대구만 규제 기간이 더 길어지는 것이어서 안타깝다. 하지만 지역의 코로나 발생과 전파상황을 감안하면 어쩔 수 없는 선택이다. 대구는 코로나 사태 이후 전국 확진자의 63.5%가 집중됐고, 완치 후 재양성자도 다수 발생했다.

또 아직 감염경로가 불분명한 확진자들이 지역에서 산발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는 무증상 감염자인 ‘조용한 전파자’가 지역사회 어느 곳엔가 남아 새로운 집단 감염원이 될 수 있다는 이야기다.

대구시는 지난 5일 권영진 시장 특별 담화문을 통해 “버스, 도시철도, 택시 등 다중이 이용하는 교통 수단과 공공 시설을 이용할 경우 마스크를 의무적으로 착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마스크 착용 의무화는 전국 최초로 행정명령으로 발동됐다. 1주간의 계도기간을 거쳐 고3 등교 수업이 시작되는 13일부터 강도 높게 시행된다. 위반하면 과태료 부과 또는 고발 등의 대상이 된다.

또 고3을 제외한 나머지 초중고 학생들의 등교수업 일정을 지역 상황에 맞게 조정하는 방안을 대구시교육청과 긴밀히 협의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개학 추가 연기는 학생들의 학습권, 지역경기 침체 심화 등 여러가지 요소가 맞물려 있다. 상황 변화를 충분히 반영해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연장, 도서관, 미술관, 체육관 등 대구시가 운영하는 실내 공공시설은 휴관을 2주간 연장한다. 축구장, 테니스장, 파크골프장 등 실외 체육시설은 개장을 1주간 연기한다.

코로나에 취약한 노령층 보호를 위해 경로당, 노인복지회관 등 생활 복지시설은 향후 2주간 개방하지 않는다. 어린이집은 일단 이달 말까지 휴원을 연장한다. 또 폐쇄된 실내 모임과 집회, 회식 자제도 요청했다.

지금 대구의 상황은 일상으로의 성급한 복귀보다 철저한 방역에 무게를 둘 수밖에 없다. 자칫 잘못하면 이제까지의 노력과 고통이 한순간 물거품으로 돌아가기 때문이다.

더 큰 피해를 막기 위해 ‘좀 과하다 싶을 정도의 조치’가 불가피하다는 점을 이해는 한다. 하지만 시민들의 고통과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이 반드시 병행돼야 한다. 시민참여형 방역체계가 상황에 맞춰 탄력적으로 운용되기를 바란다.



지국현 기자 jkh8760@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