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가 코로나19 사태로 초래된 위기를 힘겹게 헤쳐 나가고 있다. 세상은 ‘코로나19 이전’과 ‘코로나19 이후’가 완전히 다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특히 전국에서 가장 많은 확진자와 사망자가 쏟아져 나온 대구지역은 그 상처가 얼마나 클지 정확한 실태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또 후유증이 언제까지 이어지고, 어디까지 불똥이 튈지 아직 가늠조차 못하는 상황이다.

국내 코로나19 사태가 진정 국면으로 접어들면서 정부는 그간 시행해 온 ‘사회적 거리두기’를 6일부터 일상과 방역을 병행하는 ‘생활 속 거리두기’(생활방역)로 전환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위험 요인이 없어졌다거나, 종전과 같이 안심하고 일상 생활을 해도 된다는 신호로 받아들여서는 절대 안된다. 언제든지 집단 감염이 발생해 재유행이 올 수 있다는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 이번 생활방역으로의 전환은 정부의 설명처럼 더 이상 사회적 비용과 경제적 피해를 감수할 수 없어 방역 상의 위험을 감수하면서 선택한 절충안일 뿐이다.

예방백신이나 치료제가 개발된다 하더라도 방역당국이 밝힌 당분간 마스크 착용, 30초 손씻기, 두팔 간격 거리두기, 침 안뱉기 등 개인방역 지침은 반드시 지켜야 한다. 기침이나 재채기를 소매로 가리고 하는 기침 예절은 생활예절로 정착시켜야 한다.

근본적 문제는 앞으로 달라질 세상에 대한 대책을 서둘러 세워 나가는 것이다. 더 이상 과거와 같은 일상으로 돌아갈 수 없기 때문이다.

지역 사회 각 분야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생활 속 거리두기 일상화로 ‘비대면 문화’ 확산, 온라인 경제활동 급증 등 여러가지 변화가 예상된다. 작은 결혼식, 온라인 조문 등 관혼상제 문화에도 변화가 나타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문재인 정부는 100대 국정 과제를 ‘포스트 코로나’에 맞춰 재조정한다고 밝혔다. 우선은 고용유지에 방점이 찍힐 것 같다. 각 지방자치단체도 서둘러 중장기 대책을 만들어야 한다.

교육현장도 마찬가지다. 사교육의 부작용을 되짚어보고 공교육을 정상화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예산을 집중 투입해서라도 교육현장의 감염병 예방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이번과 같이 온나라가 몇달씩 학교 문조차 열지 못하는 불행한 사태가 다시는 없게 해야 한다.

지역 경제인들은 새로운 환경에 걸맞는 기업의 진로를 모색해야 한다.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면 경쟁에 이길 수 없기 때문이다.

지역 사회 모든 분야에 변화가 나타날 것이다. 진정한 코로나19 극복은 이제부터다.



지국현 기자 jkh8760@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