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국회의원을 뽑는 4·15총선이 후보 등록을 마감하면서 본격 막이 올랐다. 지난 27일 마감한 후보등록 결과 대구는 12개 지역구에 61명이 등록해 5.1대1, 경북은 13개 지역구에 60명이 나서 4.6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전국적으로는 253개 지역구에 1천118명이 등록해 4.4대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대구·경북의 경쟁률은 4년 전 20대 총선의 3.1대1, 2.6대1에 비해 크게 높아졌다. 이는 미래통합당의 서울TK 낙하산 공천에 반발해 탈당한 인사들의 무소속 출마가 증가한데다 더불어민주당이 16년 만에 25개 전 지역구에 후보자를 공천한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번 총선은 코로나19 확산 차단을 위해 모든 사회활동과 경제활동이 제한된 국가적 위기상황에서 치러진다. 지난 3년간의 문재인 정부 중간 평가와 함께 코로나19 위기극복 노력이 어떠한 평가를 받게 될지 관심이 집중된다.

지역에서는 원전 폐쇄, 조국 전 장관 사태 등에서 나타난 현 정부의 마이웨이식 국정운영에 경종을 울려야 한다는 주장이 민심 저변에 깔려 있다. 동시에 공천 과정에서 지역민의 갈 곳 없는 지지를 볼모삼아 서울TK 내리꽂기를 또 다시 되풀이 한 미래통합당도 그대로 둬서는 안된다는 목소리도 높다. 지역 민심이 이중으로 요동치는 형국이다.

이번 선거에서는 사상 처음으로 도입된 준연동형 비례대표제가 국민들의 평가 대상이다. 위성정당이 앞다투어 창당되면서 막장 드라마를 방불케 하고 있다. 범여 ‘4+1 협의체’의 선거법 개정안 처리 과정은 우리가 잘 알고 있다.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도입한 선거법 조항 폐지가 21대 국회의 첫 과제가 돼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정치권의 낯 뜨거운 행태에 대한 국민들의 질책이 어떤 형태로 표출될지 관심이다.

자신들이 만든 위성정당이 정당 투표용지 상위 번호를 받도록 하기 위한 등록 막판 의원 셀프제명과 꿔주기 등의 행태도 빈축을 샀다. 공천 뒤집기 등 진흙탕 집안 싸움도 정치에 대한 환멸감을 주기에 충분했다.

국민들은 코로나 사태로 선거에 관심 가질 여유가 없다. 투표를 불과 2주일 앞두고도 각 당의 정책이나 공약을 제대로 알지 못한다. 정치권에서도 권력 투쟁적 모습만 보이고 국가와 지역 공동체의 나아갈 방향 제시는 보이지 않는다. 최악의 깜깜이 선거가 우려된다. 각 당은 지금부터라도 정책 대결에 나서야 한다.

국민들도 선뜻 손이 가는 후보가 없다고 기권해서는 안된다. 다시 한번 꼼꼼이 살펴 차악의 후보에게라도 투표해야 한다. 이번 총선이 향후 4년은 물론이고 그 이후의 국가적 미래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지국현 기자 jkh8760@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