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영화 '남한산성' 포스터

영화 '남한산성' 줄거리, 병자호란이 주목받는 가운데 '남한산성’은 1636년 인조 14년 병자호란, 나아갈 곳도 물러설 곳도 없는 고립무원의 남한산성 속 조선의 운명이 걸린 가장 치열한 47일간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다. 70만부 이상 판매된 김훈 작가의 소설을 영화화 한 ‘남한산성’은 원작과 역사의 무게를 고스란히 스크린으로 옮겼다.

영화는 말안장 위에 앉은 이조판서 최명길(이병헌)의 뒷모습을 보여주면서 시작한다. 카메라가 뒤로 빠지면 멀찍이 도열한 청나라 군대의 압도적인 위용이 나타난다. 말 한 필에 의지해 청의 대군과 마주한 최명길의 모습은 당시 조선 왕실이 처한 고립무원의 처지를 떠올리게 한다.

전장에서는 칼과 칼이 맞부딪치는 전투가 펼쳐지지만, 이 영화의 핵심적 긴장은 말과 말이 벌이는 싸움이다. 화친을 주장하는 최명길과 항전을 주장하는 김상헌(김윤석)은 임금 앞에서 서늘한 말의 전투를 치른다.

진퇴양난의 입지에서 힘없는 조선이 취할 차악의 태세는 무엇이었을까. ‘남한산성’은 그 고민을 관객들과 함께 해 나가길 원한다. 인조가 고려해야 할 점은 단순히 조정의 입장만이 아니었다. 그 보다 중요한 ‘백성’이었다. 영화는 인조, 최명길, 김상헌을 중점으로 다루면서도 틈틈이 대장장이 서날쇠(고수) 등 백성들의 참상을 비춘다.

이 지점에서 관객들은 동질감을 느끼게 된다. 좀체 평탄치 않은 형국에서 힘겨운 삶을 꾸역꾸역 살아가는 처지가 현대 서민들의 모습과 닮아있는 것은 결코 기분 탓이 아니리라. 세상은 풍족해졌다고 하지만 부의 양극화, 상대적 박탈감, 각종 부패 등 문제가 날로 심해지는 게 현실이다. 국가가 위기에 처했을 때 그 짐을 고스란히 짊어지는 대상이 국민이라는 점도 여전하다.

고증을 통해 굴욕의 역사를 되살린 ‘남한산성’은 근래 보기 드문 정통사극이다. 재미를 위한 과장된 캐릭터도 없고 특유의 국뽕 감성도 없다. 유난히 길었던 당시의 겨울을 재현하며 영화는 시작부터 끝까지 무채색의 톤을 유지해간다.

한편 '남한산성'은 역사상 가장 치열했던 병자호란을 배경으로 했으며 실존 인물부터 공간적 배경까지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리얼하게 담아냈다.

신정미 기자 jmshin@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