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K2 기지 이전 요구는 40여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970년대 중반 경북대 교양과정부(1학년 과정) 학생회장 선거 때다. 한 후보자가 당선되면 K2 이전을 추진하겠다는 공약을 내걸었다. 전투기 소음 때문에 수업에 차질이 생긴다는 이유에서였다.

선거가 끝난 후 학생회가 K2에 이전을 요구하는 공문을 발송했으나 ‘기지는 절대 옮길 수 없으니 경북대를 옮기는 것이 좋겠다’는 답변이 왔다는 이야기가 학생들 사이에 나돌았다. 당시는 무모한 것으로 비치기도 했지만 그 공약에는 학교발전과 학생들을 위해서라면 무엇이든 한다는 대학 신입생의 기개가 담겨있었다.

---곳곳에 변수…접근성 확보가 최대 과제

그때 공약이 K2를 옮겨달라고 공식적으로 당국에 요구한 첫 사례가 아닐까 생각된다. 40여 년이 지난 지금 최종 이전지 결정 주민투표가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대구공항은 일제 강점기인 지난 1936년 개설됐다. 당시 현 위치인 동구 동촌과 북구 원대동 등 2곳이 검토됐으나 최종적으로 동촌이 선정됐다. 1930년대 초반 일제의 군사공항 필요성과 함께 대구에 살던 일본인들을 중심으로 지역 발전을 위해서는 항공루트가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개설이 추진된 것이다. 그후 대구비행장은 조선, 일본, 만주를 연결하는 항공교통 거점 역할을 한 것으로 전해진다.

광복 후에도 군사공항으로 기능해 오다 1961년 대구와 서울을 잇는 최초의 정기 민항 노선이 개설돼 오늘에 이르고 있다.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건설지역 결정은 새해 지역 최대 이슈다. 21일 군위·의성 주민투표를 통해 입지가 최종 확정된다. 그러나 신공항 건설은 장밋빛 전망만 있는 것이 아니다. 입지 확정 후 해결해야 할 과제가 한둘이 아니다. 변수도 도처에 널려 있다.

공항은 대구·경북의 미래를 결정짓는 초대형 SOC다. 옮기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제대로 된 국제공항의 건설이다. 경북도의 연구용역에 따르면 통합신공항의 이용객은 2050년 1천만 명에 육박해 지난해 467만 명의 2배가 넘을 것으로 예측됐다. 화물 운송은 연간 10만t에 이를 전망이다.

그러나 이는 모든 것이 계획대로 풀려갈 때의 수치다. 현재로서는 접근성을 개선하는 것이 가장 큰 과제다. 통합공항의 성패가 여기에 달려있다. 건설해놓고 승객이 안오면 그런 낭패가 없다. 항공사는 당연히 취항을 않거나 노선을 철수할 것이다. 이는 경제의 기본 논리다.

아직도 적지않은 대구시민들이 군공항만 이전하면 좋겠다는 의견을 버리지 않고 있다. 이전 후 접근성이 떨어져 이용에 불편이 커질까 우려하는 탓이다.

대구시와 경북도 관계자들은 통합공항이 대구 도심에서 30분~1시간 이내 연결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약속을 지키는데 기관과 개인의 명예를 걸어야 한다. 약속이 지켜지지 않으면 지역 발전에 돌이킬 수 없는 죄를 짓게 된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국토 중동부 관문공항 확장성도 과제

대구시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대책이 신속하게 나와야 한다. 점검위원회를 만들어 분기에 한번 정도 주민들에게 추진상황을 보고하는 소통체계도 필요하다.

통합공항은 국토 중동부 관문공항이 목표다. 충청, 강원, 경남 지역 승객을 더 많이 끌어오겠다는 확장성을 생각하고 건설에 임해야 한다. 현재의 단거리 위주 노선을 벗어나 유럽과 미주 등 중장거리 노선 수요에 대비해야 한다. 수출입 화물 수송, 지역 국제화, 외국관광객 유입, 항공산업 육성 등 어느 것 하나 빠트릴 수 없는 목적들이다.

이에 앞서 주민투표 후 탈락지역의 승복을 이끌어 내는 것도 과제다. 주민들이 받아들일 수 있는 현실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성숙한 시민정신으로 통합신공항 건설이라는 역사적 과제를 마무리 할 수 있도록 민관이 힘을 모아야 한다. 소지역주의에 발목이 잡혀서는 안된다.

개항까지 6년 남았다. 지역 관문공항 건설의 다양한 해외 사례를 충분히 검토해 시행착오가 없게 해야 한다. 대구·경북의 백년대계가 될 통합공항 이전사업이 이제 첫 발을 뗀다.

지국현 논설실장



지국현 기자 jkh8760@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