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문 양반 왕자지/ 이대흠

예순 넘어 한글 배운 수문댁/ 몇 날 지나자 도로 표지판쯤은 제법 읽었는데// 자응 자응 했던 것을/ 장흥 장흥 읽게 되고/ 과냥 과냥 했던 것을/ 광양 광양 하게 되고/ 광주 광주 서울 서울/ 다 읽게 됐는데// 새로 읽게 된 말이랑 이제껏 썼던 말이랑/ 통 달라서/ 말 따로 생각 따로 머릿속이 짜글짜글 했는데// 자식놈 전화 받을 때도/ 옴마 옴마 그래부렀냐? 하다가도/ 부렀다과 버렸다 사이에서/ 가새와 가위 사이에서/ 혀와 쎄가 엉켜서 말이 굳곤 하였는데// 어느 날 변소 벽에 써진 말/ 수문 양반 왕자지/ 그 말 하나는 옳게 들어왔는데// 그 낙서를 본 수문댁/ 입이 눈꼬리로 오르며/ 그람 그람 우리 수문 양반/ 왕자 거튼 사램이었제/ 왕자 거튼 사램이었제

- 시집 『귀가 서럽다 』(창비, 2010)

........................................................

이 시에서의 수문댁은 예순 넘어 한글을 배우긴 했으나, ‘새로 읽게 된 말이랑 이제껏 썼던 말이랑 통 달라서’ ‘말 따로 생각 따로 머릿속이 짜글짜글’하고 ‘쎄바닥’이 여간 엉키는 게 아니었던 모양이다. 마치 과거 영국인들의 16진법으로 잘 써오던 일상이 10진법으로 갑자기 바뀌면서 겪는 혼란처럼 아무리 옳은 말이라 해도 입에 달라붙지 않아 여간 불편한 게 아니다. 그런데 아마도 먼저 간 영감을 겨냥하고 누가 그전에 써놓았지 싶은 변소 옆 낙서 ‘수문 양반 왕자지’ 그 말 하나는 옳게 들어왔던 것이다.

그래서 ‘왕자 거튼 사램’이라 읽고 먼저 간 남편을 하늘같은 사람으로 왕자 같은 사람으로 받들어 추억하긴 했는데 이 얼마나 아름다운 오역인가. 익숙하게 써왔던 말이 사투리든 외래어든 바르게 고쳐 사용하는 것이 쉽지만은 않다. ‘벤또’를 도시락으로, ‘다꾸앙’을 단무지로 바꿔 말하기는 그다지 큰 저항이 아닌데 ‘오뎅’은 어묵꼬치가 아니라 여전히 ‘오뎅’으로 불러야 제 맛이 나는 건 사실이다. 우리 김치가 그들에게 ‘기무치’가 아니라 ‘김치’라 불리기를 바란다면 그 정도의 용인은 가하지 싶은데도 요즘의 분위기로는 그조차 쉽지 않아 보인다.

짬뽕도 일본어 ‘잔폰’에서 유래되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짬뽕이 우리말처럼 굳어졌기 때문에 굳이 순화하라고 하진 않는데 ‘초마면’이란 우리말 표현이 있긴 하다. 어원도 의미도 모른 채 아무렇지도 않게 쓰는 왜색 낱말이 부지기수다. 이를테면 ‘18번’은 에도시대에 ‘가부끼’를 하던 한 가문의 잘하던 레퍼토리가 18가지인 것에서 비롯된 말로 가장 잘하는 장기의 의미로 통용하고 있다. 여전히 남아있는 일본어 잔재는 한글 정신을 무색케 한다. 일본제품 불매운동보다 더 중요한 것이 일상생활에 뿌리내린 일본식 잔재 용어를 배격하는 일이다.

‘곰보빵’이 표준어인 일본어 ‘소보로’, 생선에 채소 따위를 넣어 맑게 끓인 국을 일컫는 ‘지리’도 ‘싱건탕’으로 순화되어야할 말이다. 우리말 속어처럼 사용되는 ‘뽀록나다’도 일본어 ‘보로’(ぼろ)에서 온 말이다. ‘드러나다’또는 ‘들통 나다’로 순화해서 써야 할 말이다. ‘비까번쩍하다’란 말 역시 일본어 ‘비까’(ぷか)가 국어의 의태어 ‘번쩍’과 결합한 말이다. ‘번쩍번쩍하다’로 순화해서 그냥 쓰면 될 것을 굳이 그렇게 쓸 말은 아니다. 일본어만이 아니라 영어도 마찬가지다. 더구나 한글날 광화문 세종대왕상 앞에서 성조기를 흔드는 것은 또 무언가.







김창원 기자 kcw@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