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돼지열병(ASF)의 확산 기세가 심상찮다. 돼지 사육농가와 국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강화와 연천서 25일 또다시 아프리카돼지열병 의심 신고가 잇따랐다. 발병 일주일 만에 파주, 연천, 김포, 강화 등 북한 접경 지역 일원을 휩쓸고 있다.

새로 신고된 사례가 확진 결론이 나면 아프리카돼지열병 국내 발병 건수는 총 6건으로 늘어난다. 경북도도 초긴장 모드에 들어갔다. 특히 정밀검사에서 음성 판정을 받은 농장에서 ASF가 발생하는 등 방역에 구멍이 뚫리고 정확한 감염경로까지 밝혀지지 않은 때문이다. 경북도는 정밀검사 방식을 지금까지 도축장 중심에서 어미 돼지 농장 중심의 검사로 전환하는 등 차단 방역에 치중하고 있다.

이번 ASF와 관련, 가장 큰 문제는 당국의 집중 검역 및 조사에도 불구하고 감염 경로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방역에 전력을 쏟고 있는데도 계속 타 지역으로 ASF가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유입 경로가 확인돼야 차단 방역을 제대로 할 수 있을 터인데 그렇지 못하다는 점이다.

급기야 방역 당국은 북한 유입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는 것 같다. 국가정보원은 북한이 지난 5월 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을 공식 신고한 후 ASF가 북한 전역으로 확산됐다고 24일 밝혔다. 군사분계선 접경 지역을 중심으로 ASF가 발생하면서 정부는 북측에서 전파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는 것이다. 특히 북한에서 날아온 파리·모기에 의한 유입 가능성도 들여다보고 있다.

사료 및 가축 운반 차량의 바이러스 매개 역할 여부도 주목해야 한다. 예전의 구제역 및 조류독감 발생 시에도 피해 확산의 고리 역할을 했다. 앞서 발병한 농장을 찾았던 차량들이 전국 500곳의 농장에 들렀다고 한다. 또 경북 군위에서 파주로 돼지를 출하한 사례가 파악되는 등 지역 농가에도 바이러스 전파 가능성이 없지 않다.

현재 ASF와 관련한 북한 당국의 협조가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 하지만 군·관 등 채널을 총동원해 유입 경로를 확인할 수 있는 창구를 터놓아야 한다. 북한 유입 여부가 확인되면 그 통로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필요하다면 북한에 방역 약품과 장비 지원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방역 당국은 가축의 이동 통제와 함께 역학 조사 등 대응 강도를 최고도로 높이고 혹여 구멍 뚫린 곳은 없는지 2중 3중으로 꼼꼼히 챙겨야 한다.

특히 축산 관련 트럭은 이동 경로의 상시 파악과 소독 등 조치가 필요하다. 위험성이 조금이라도 있으면 신속한 이동 차단 조치를 해야 한다. 다시 방역 시스템이 뚫리면 우리 축산업계가 모두 죽는다는 각오로 방역과 차단에 만전을 기하길 바란다.



홍석봉 기자 dghong@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