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필부문 심사평

▲ 조명래 심사위원장전 영남수필문학회 회장
▲ 조명래 심사위원장전 영남수필문학회 회장
우리 심사위원들은 먼저 ‘경북도내 유·무형 전통문화 체험과 자연환경 및 명승지 탐방 체험의 문학적 구현’이 본 수필 대전의 취지임을 확인하고 심사를 시작하기 전에 큰 방향을 협의했다.

그것은 해박한 관련 지식을 동원해 유명 관광지를 소개하는 해설사적 관점의 서술보다는 경북도내에 산재한 명소를 소재로 하되 수필문학적인 완성도가 더 중요하다는 점이었다. 또 이미 많이 알려진 유물 유적보다 상대적으로 덜 알려지기는 했지만 새로운 곳을 발굴하여 널리 알리는 것도 본 대회의 취지에 부합하는 의미 있는 일이라는 데 공감했다.

총 500여 편의 응모작품 중에서 예심을 거쳐 올라온 작품은 70여 편이었다. 그중에서 가장 나중까지 남은 작품은 나식연씨의 ‘불목(佛木)’과 박소현씨의 ‘내성행상불망비’, 그리고 최서진씨의 ‘마루길’이었다.

‘마루길’은 봉정사 영산암의 우화루 2층 대청을 중심으로 송암당과 관심당을 연결한 길을 잔잔한 어투로 치밀하게 설명하고 있으나 다른 두 작품에 비해 감동의 크기가 미치지 못했다.

반면에 ‘불목(佛木)’은 제목부터 사유의 깊이가 느껴진다. 또 ‘나무는 사계절을 견디며 성찰한 모습으로 향기 나는 열매를 내주고, 어머니는 울퉁불퉁한 자식이어도 정성을 다해 세상에 내놓았다.’ ‘아흔 고개를 바라보는 어머니, 당신에겐 은근한 향이 있었다. 썩어가면서도 제 향을 내는 모과처럼 몸이 망가져도 향내를 잃지 않았다.’며 은은하게 주제를 드러낸다. 말미에 ‘팔백 년을 살고도 가지 끝 수액을 모아 귀한 열매를 살찌워 내놓는 나무 앞에서 숭고함을 만났다. 올가을에도 튼실한 열매로 불단 위에 보시되기를 빌고 또 빈다.’며 소박한 속내를 조금의 망설임도 없이 털어놓는다.

‘내성행상불망비’는 울진에서 봉화를 잇는 130리 고갯길 초입에 봉화와 안동 출신 두 보부상을 잊지 말자며 새겨놓은 비석이 소재이다. 보부상들이 무거운 짐을 지고 넘나들던 길에서 생선을 머리에 이고 거리를 떠돌던 어머니를 만나고, 그 어머니가 있어 오늘 내가 있다는 고백을 읽으며 가슴 깊은 곳에서 뜨거운 뭔가가 울컥 솟아오름을 느꼈다. 가난하게 살았던 민초들의 모습을 ‘따뜻하고 징한 삶의 굴레가 안개처럼’ 받아 안았다. 심사위원들은 이 작품을 거듭 읽으며 감동을 만끽했다.



김혜성 기자 hyesung@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