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사율 최대 100%에 이르는 치명적인 돼지 전염병인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국내에서 발생했다. 방역 당국과 양돈 농가들에 비상이 걸렸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7일 경기도 파주시의 한 돼지 농장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농식품부는 아프리카돼지열병 조기 종식을 위해 위기 경보를 ‘심각’으로 격상하고 발생 농장 등 돼지 3천950마리를 살처분했다.

또 농식품부는 48시간 동안 전국에 가축 등 일시 이동 중지 명령을 내렸다. 남은 음식물의 양돈 농가 반입도 전면 금지했다. 환경부 등과 협력해 접경 지역의 야생 멧돼지 개체 수 조절에 나섰다. 전국 양돈 농가 6천309호의 일제 소독과 예찰도 한다.

경북도도 아프리카돼지열병의 도내 유입을 차단하는 방역에 나섰다. 경북도내에는 현재 743곳의 돼지 양돈농가에서 150만9천여 마리를 사육 중이다. 현재까지는 특이사항은 없다.

경북은 2010년11월 발생한 구제역의 악몽을 기억하고 있다. 당시 안동 한 축산농가에서 발생한 구제역이 전국 7개 시·도로 번져 전국의 소, 돼지, 염소 등 347만9천962두를 살처분했다. 피해액이 2조7천383억 원에 달했다.

ASF는 감염된 돼지 및 돼지 생산물의 이동, 오염된 남은 음식물의 돼지 급여, 야생 멧돼지 등을 통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잠복기는 3일에서 최장 21일이다. 사람에게는 전염되지 않는다. 그러나 백신이나 치료약이 개발되지 않아 돼지는 한번 감염되면 폐사하는 치명적인 병이다.

ASF는 지난 5월 북한에서 발생했으며 지난해 중국과 베트남, 미얀마 등 아시아국가를 휩쓸었다. 중국에서는 지난해 4월 ASF 발생 이후 돼지고기값이 40% 넘게 오르는 바람에 돼지고기 파동을 치렀다.

정부는 지난 5월 북한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병한 후 전국 모든 양돈 농장을 대상으로 돼지 혈액 검사를 하고 방역 작업을 펼쳐왔지만 결국 국내 유입을 막지 못했다.

관계 당국은 유입경로를 확인, 철저히 방역하고 선제 방어에 나서야 한다. 앞으로 일주일이 고비다. 농식품부가 역학조사반을 파견해 유입경로를 역추적하고 있지만 파악이 가능할지는 알 수 없다.

ASF는 발생하면 살처분 외에는 대책이 없다. 자칫 국내 돼지 사육 농가가 전멸에 가까운 피해를 입을 수도 있다. 방역에 더욱 치중해야하는 이유다. 해외에서 불법 축산가공품이 들어오지 않도록 여행객들에게 협조를 구하는 일도 급하다. 농식품부 등 방역당국은 철저하고 빈틈없는 관리로 더 이상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



홍석봉 기자 dghong@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