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바쁜데 웬 설사/ 김용택

소낙비는 오지요/ 소는 뛰지요

바작에 풀은 허물어지지요/ 설사는 났지요

허리끈은 안 풀어지지요/ 들판에 사람들은 많지요

- 시집『강 같은 세월』(창작과 비평사, 1995)

....................................................

살아가다보면 누구나 한두 번쯤 이런 긴박한 최악의 코너에 몰릴 때가 있다. 자신의 일이 아닐지라도 둘레에서 이 같은 상황을 목격할 경우도 있겠고. 실제로 이 시는 시인의 어머니가 저 광경을 목격하고선 아들에게 들려준 이야기를 시인 말마따나 고스란히 받아쓴 것이라고 한다. 어머니가 바쁜 농사철 논두렁에서 바라보니 어떤 사람이 깔짐 지게를 지고 소를 몰고 오는데 갑자기 똥이 마려운 폼이었단다. 소를 묶고 지게를 받쳐야 하는데, 지게를 받치자 깔짐이 넘어가버려 풀이 그만 허물어졌던 것이다.

그때 소가 펄떡펄떡 뛰는 광경을 보았다. 깔짐은 넘어가지, 소는 뛰지, 받치기는 힘들지. 설사는 나오려고 하지, 보아하니 삼베옷 허리띠는 잘 풀어지지 않는 것 같고 들판엔 사람들도 많았단다. 고상한 표현의 ‘설상가상’정도가 아니다. 시인은 이 상황을 전해 듣고 그대로 베껴 썼다고 한다. 어쩌면 ‘소나기’부분은 각색일지도 모르겠다. 긴밀하게 이를 재구성 가공한 것이 더욱 구체성을 띄고 있다. 하지만 그냥 평범한 산문적 사고의 나열에 그쳤다면 시가 되진 못했으리라.

‘소나기가 오는데다가 소도 뛰고 풀은 허물어졌다. 게다가 설사도 나고 허리끈도 안 풀어진다. 그리고 보는 사람도 많다.’ 정도가 되겠는데 재미와 감흥이 팍 떨어진다. 그렇다면 이 시에서 떠받혀주고 있는 부분은 반복해서 서술하고 있는 ‘지요’라는 나열적 질서가 되겠는데, 시적 운율을 느끼게 하여 시를 시답게 하고 있다. 이런 형식의 리듬은 사실 특별할 건 없고 우리의 일상에서 흔히 써먹는 말이다. ‘비는 오지요 갈 길은 멀지요 배는 고프지요...’ 따위의 익숙한 리듬이다.

이 시는 지금도 그런지 모르겠으나 중학교 교과서에도 실렸었다. 이 정도면 요즘 아이들에게도 먹혀드는 개그 수준이 아닐까. 전유성은 시집을 즐겨 읽는 개그맨으로 알려져 있다. 아마 이런 시를 만나면 반색하며 소재로 써먹으려 할 것이고 그리해도 손색은 없겠다. 여섯 행에 불과한 이 짧은 시에서 어느 한 행이라도 빠져있다면 긴장감의 밀도가 떨어져 재미도 덜했을 것이다. 특히 ‘허리끈은 안 풀어지지요’란 대목이 누락된다면 아예 시의 꼬락서니가 안 되겠다. ‘바작’이란 낯선 농촌 물건도 살짝 시의 품격을 거들고 있다.

바작은 지게에 짐을 싣기 좋도록 하기위해 대나 싸리로 걸어 접었다 폈다 할 수 있게 만든 조개모양의 물건이다. 아무튼 시가 재미나긴 한데 당사자의 입장에서는 미치고 팔짝 뛸 노릇이 아닐 수 없다. 시에서 설사 만난 이는 저 극도의 난감한 상황을 어떻게 수습하였을까. 어떤 이유에서건 사람이 막다른 골목에 처하면 선택지가 없다. 극단적인 선택의 심리도 이와 비슷하다. 피하고 싶은데 피할 곳은 없고 모면하고 싶은데 극복은 안 된다.

지금의 나라 꼬락서니도 그러하다. 국민들도 덩달아 누추하고 모멸적인 삶의 연속이다. 조국 법무장관 후보자를 둘러싼 끝없는 논쟁은 이제 진영 싸움의 수준을 벗어났다. 양쪽 다 설사 만난 사람의 사생결단 싸움질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 이 상황을 피하려면 최소한 ‘허리끈’ 하나는 평소에 잘 관리되어야 하는데, 그 허리끈마저 지금은 요지부동이다.



김창원 기자 kcw@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