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 간 융합을 보고 배워라

박운석

패밀리푸드협동조합 이사장

조용한 곳에서 휴가를 보내다보니 좋은 점이 많다. 시간이 나면 책이나 좀 읽어보자고 가볍게 생각하고 가지고 온 책을 내리 두 권을 읽었다. 그 중의 하나가 정재승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가 지은 ‘열두 발자국’이다. 이 책은 지난 10년간 저자의 강연 중에서 가장 많은 호응을 받았던 12개의 강연을 선별해 이야기하듯 풀어낸 책이다. 대구시가 지난 2016년부터 추진해온 독서 캠페인인 ‘2019 대구 올해의 책’에 선정되기도 했다. 1천600여 명의 시민이 투표에 참여해 선정한 만큼 이미 독자들의 관심을 얻은 책이었다.

이 책은 마치 현장에서 강연을 듣는 듯 일상과 관련된 뇌과학을 쉽게 설명을 해 흥미로웠다. 그 중에서도 가장 재미있게 읽은 부분이 ‘창의적인 사람들의 뇌에서는 무슨 일이 벌어지는가’를 다룬 부분이었다. 천장이 높아야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나온다는 제목에 이끌려 집중해서 보게 된 부분이기도 했다.

미국인 바이러스 학자 조너스 소크는 소아마비 백신을 만든 연구자다. 초기에 연구 성과가 없던 그는 답답한 마음에 이탈리아의 한 수도원으로 들어간다. 13세기에 세워진 수도원 성당 안에서 어느 날 기발한 아이디어를 떠올리게 된 그는 바로 미국으로 돌아가 백신 개발에 성공하게 된다. 그 후 그는 백신 제작 과정을 무료로 공개해 지구상에서 소아마비 환자를 사라지게 하는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캘리포니아 주정부는 소크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소크생물학연구소를 설립하고 당대 최고의 건축가인 루이스 칸에게 설계를 맡겼다. 소크는 그에게 “내 아이디어는 천장이 높은 수도원 성당에서 얻었다. 천장이 높아 사고공간이 한없이 넓어진 느낌이었다. 연구소의 모든 공간의 높이가 높았으면 좋겠다”라고 부탁했다. 높은 천장 덕인지 이후 이 연구소에서 지난 50년간 12명의 노벨상 수상자가 배출되었고 높은 천장과 창의력의 상관관계를 증명하는 연구자들의 실험도 잇따랐다. 그 결과도 흥미롭다. 집중력이 필요한 단순 문제를 풀 때는 천장높이가 낮은 2.4m였을 때 가장 높은 성과를 얻었다. 반면 창의적 아이디어가 필요할 때는 천장의 높이가 가장 높았던 3.3m에서 가장 좋은 성과를 얻었다.

이 실험이후 과학자들은 공간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뇌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공간이 뇌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 그걸 바탕으로 건축물을 설계했다. 정재승 교수는 책에서 이 연구결과가 우리에게 들려주는 메시지는 뭔지 반문한다. 그는 신경과학과 건축학, 두 분야의 만남에 주목했다. 언뜻 전혀 상관없어 보이는 두 분야의 만남이 창의적인 생각을 이끌어냈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그는 결국 혁신의 실마리는 가끔 완전히 다른 각도에서 봄으로써 이루어진다는 점을 이야기하고 싶어 했다. 또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많이 주워 담기 위해서는 도서, 여행 뿐 아니라 사람들과의 만남이 중요하다고도 했다. 경계를 넘나들면서 타 분야 전문가와 소통하고 협력하는 능력을 키우는데 최고이기 때문이다. 오죽하면 융합하는 능력은 인공지능 기술이 아무리 진화해도 따라올 수 없는 인간의 고유 영역이라고 했겠나 싶다.

몇 년 전부터 융합(convergence)이라는 단어가 우리 사회의 가장 큰 이슈로 자리잡았다. 대학에도 융합이라는 용어가 들어간 학과가 등장하고 정부부처나 각종 연구기관들에서도 융합 연구과제들을 잇따라 발표하고 있다.

전 세계가 융합이라는 경주에 뛰어들어 무한경쟁 중이다. 융합은 학문 뿐 아니라 산업분야에서도 활발하다. 특히 일본과의 무역분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소재부품 장비산업 등 원천기술 확보 및 대외의존도가 높은 분야에서도 융합은 필수적으로 보인다.

하지만 무엇보다 융합이 시급한 분야가 정치일 듯하다. 어차피 신경과학과 건축학의 만남처럼 혁신은 한 영역만으로는 이루어질 수 없다. 융합은 혼자서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융합은 둘이서 함께 뛰는 이인삼각 경주와 같다. 이인삼각 경주는 서로 어깨동무를 하고 기대면서 호흡을 잘 맞춰야 좋은 성적을 낼 수 있다. 어깨동무를 한 정치권이 서로의 의견을 잘 녹여내고 융합하는 모습을 보고 싶다.







김창원 기자 kcw@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