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산조각/ 정호승

룸비니에서 사온/ 흙으로 만든 부처님이/ 마룻바닥에 떨어져 산산조각이 났다/ 팔은 팔대로 다리는 다리대로/ 목은 목대로 발가락은 발가락대로/ 산산조각이 나/ 얼른 허리를 굽히고/ 서랍 속에 넣어두었던/ 순간접착제를 꺼내 붙였다/ 그때 늘 부서지지 않으려고 노력하는/ 불쌍한 내 머리를/ 다정히 쓰다듬어 주시면서/ 부처님이 말씀하셨다/ 산산조각이 나면/ 산산조각을 얻을 수 있지/ 산산조각이 나면/ 산산조각으로 살아갈 수가 있지

-시집 ‘이 짧은 시간 동안’(창비, 2004)

....................................................

정호승 시인은 외부 요청으로 강연을 자주 다니는 시인으로 잘 알려져 있다. ‘산산조각’은 시인이 50세 무렵에 쓴 작품으로 강연 시 단골로 인용 소개하는 시 가운데 하나다.

평소에 가장 아끼며 늘 가슴 속에 담고 다니는 시라고 한다. 지금은 네팔 남동부에 위치해 있는 룸비니동산은 싯다르타가 태어난 곳이다.

시인은 그곳을 여행하며 기념으로 부처님 조각상을 하나 사왔던 것 같다. 그런데 후일 그것을 그만 바닥에 떨어뜨려 깨트리고 말았다.

반사적으로 서랍에 넣어둔 순간접착제를 꺼내 붙이려할 때 불쑥 부처님 말씀이 생각났고, 그 지점에서 이 시가 태어났던 것이다.

법정스님은 “종이 깨어져서 종소리가 깨어져도 종이다”라고 말씀하셨다.

아무리 깨진 종일지라도 종소리를 울리는 한 종이라는 사실은 변함없는 것이다. 내가 아무리 못나도 못난 그대로 나 자신이라는 뜻이기도 하다.

사람의 희망과 꿈을 종에 비유한다면 인생을 살아가면서 받은 상처나 좌절로 그 종은 수시로 깨어졌고 깨지고 있고 장차에도 깨어질 것이다.

종이 박살이 날 때마다 끝장이라 생각하며 자기 자신에게 실망한다.

그런데 금이 가고 깨어진 종을 종매로 치면 깨진 종소리가 나듯이 완전히 깨진 종의 파편을 치면 종의 형체는 산산조각 났을망정 그 조각조각에서 작지만 나름의 맑고 아름다운 소리가 난다고 한다.

깨져 산산조각난 종일지라도 종이 지닌 본래의 속성을 잃지 않는다는 것이다. 살아가면서 꿈이 산산조각 나고 삶 자체가 파산될 수도 있다.

그러나 조각 난 절망의 파편을 꿰맞추어 다시 꿈을 복원시킬 수도 있겠으나, 조각난 꿈의 파편을 수습해 그 자체의 삶을 부여안고 살아갈 수도 있는 것이다.

절망을 극복하는 것이 아니라 그냥 견디어도 좋을 일이다. ‘산산조각이 나면 산산조각을 얻을 수 있’고 ‘산산조각이 나면 산산조각으로 살아갈 수 있’는 것이다.

시인은 이 말씀을 평생 가슴에 품고 힘들고 지칠 때마다 꺼내보며 위로와 용기의 거울로 삼았다며서 강연 때마다 말하곤 한다.

삶에서 불행이란 누구에게나 찾아온다.

산산조각 난 절망적 상황에서 또 다른 나를 발견하게 되고 그건 또 다른 삶의 방식으로 나를 이끈다.

‘산산조각이 나면 산산조각을 얻을 수 있지 산산조각이 나면 산산조각으로 살아갈 수가 있지’

이 시는 절망의 늪에서도 자신을 잃지 않고 지켜가게 하는 묘한 주술 같은 리듬을 갖고 있다.

하지만 머리로는 이해되는 아포리즘이긴 하나 솔직히 얼른 가슴에 와 닿지는 않는다.

그렇더라도 위기의 순간, 개박살이 나서 주저앉고 싶은 순간에 누군가에게 한 편의 시가 삶의 지침이 되고 위안이 되고 다시 살아가는 힘을 준다면 누구에겐들 좋은 시라 아니할 수 있으랴.





김종윤 기자 kjyun@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