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경제 보복 조치로 대구·경북 경제에도 비상이 걸렸다. 지역 주력 업종 상당수가 규제 영향권에 들어 타격이 우려되고 기업의 불안감이 가중되고 있다. 미중 무역분쟁이 전면전으로 치닫는 상황에서 일본의 경제 보복 조치로 지역 수출이 더욱 오그라들 가능성이 높은 등 지역 경제에 드리운 암운이 더욱 짙어지고 있다. 특히 일본의 수입의존도가 높은 품목들은 당장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대구시와 경북도가 수출규제 비상대책단을 운영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이럴 때일수록 대구시와 경북도는 지역 업종별 수출입 변화 추이를 더욱 면밀히 챙기고 관련 기업에 대한 지원에 차질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대구시는 지난해 기계, 화학, 철강금속, 전자전기, 플라스틱·고무가죽, 섬유 등 854개사에서 6억5천73만 달러(7천785억 원)어치를 일본에서 수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의 수입액은 22억 달러로 전체의 15%를 차지해 중국·호주에 이은 세 번째 무역규모다.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 관련 기업 305개사의 피해가 예상된다.

대구의 경우 이차전지제조용 격리막 등 6개 품목의 수입 의존도가 50% 이상으로 관련 기업의 소재·부품 조달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경북은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타격이 클 것으로 보인다. ‘편광재료로 생산하는 판’의 경우 일본으로부터 수입하는 전체 6억5천33만3천 달러 중 경북이 3억1천871만1천 달러로 48.8%에 달한다. 또 철강 분야의 평판압연제품은 일본산 수입 비중이 20.2%, 전기전자 분야 노(爐)용 품목은 19.9%로 나타나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철강 분야다. 대부분 품목이 국내 기술로 생산 가능하거나 대체 수입할 수 있다고 한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피해 업종별로 단계적 대응책을 세워 발 빠른 지원에 나서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해야 한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피해 상황을 파악한 후 우선 조치해 주기로 하는 등 비상체제에 들어갔다. 지역 금융권도 피해 기업에 대한 자금 지원에 나서기로 하는 등 일사불란한 대응체제가 마련되고 있다.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차제에 정부 차원의 많은 논의가 있었지만 대체 소재와 부품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방 정부도 행정·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 둘째, 지방 정부가 코트라 등과 협조해 대체 수입처를 조기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경기 침체 속에 미중 무역전쟁 격화, 일본의 경제 보복으로 우리 경제는 사상 초유의 위기를 맞았다. 하지만 정부와 지자체, 기업과 국민이 합심해 지혜를 모아 난국을 헤쳐 나간다면 어려움은 있겠지만 불가능은 없을 것이다.



홍석봉 기자 dghong@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