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 포항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 사업 흐름도. 경북도 제공
▲ 경북 포항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 사업 흐름도. 경북도 제공


24일 경북 포항의 ‘차세대 배터리 규제자유특구’ (이하 규제자유특구)지정을 계기로 경북도가 전기차 배터리 산업 선도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전날 도청에서 가진 관련 브리핑에서 “단기적으로는 이차전지 소재산업 종합클러스터인 가속기 기반 차세대 배터리파크를 조성하고 장기적으로는 배터리 관련 산업 5대 거점을 조성해 미래 이차전지 기술개발 제조혁신 허브 전략을 구체화해 제2의 반도체로 불리는 배터리 산업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차세대 배터리 규제자유특구

이미 400만 대를 돌파한 전세계 전기차의 사용 후 배터리가 환경오염과 화재폭발 등의 위험이 크지만 막대한 경제적 가치를 지닌 핵심자원이라는 점을 눈여겨 본 것이다.



그럼에도 매각 불가 등 핵심 길목규제로 산업화가 부진하자 규제특례를 통해 이를 개선하고 급증하는 전기차 중대형 사용후 배터리의 친환경·고안전 처리, 고부가가치 산업회를 촉진, 전후방 산업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함이다.



경북도는 규제샌드박스 실증특례 8건, 메뉴판식 규제특례 1건을 신청해 특구위원회 심의 의결을 거쳐 최종 지정을 받았다. 기업들과 실증사업을 통해 미비된 지침을 정비해 산업화 기반을 다지기 위한 야심찬 출발이 시작된 것이다.



특구 사업은 사용후 배터리 보관, 상태진단, 활용 분류, 안전성 시험평가 등 종합관리, 재사용 기준 마련을 위한 태양광 발전단지 전용 ESS개발 실증사업, 리튬과 코발트 등 이차전지 핵심소재의 추출 가공 및 고순도화(재활용) 등 세가지로 진행된다.



특히 리튬과 코발트 등 핵심소재의 약 30% 정도는 수입대체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돼 일본의 부품소재 수출규제와 맞물린 자원안보에도 도움일 될 전망이다.



이장준 경북도 과학기술정책과장은 “이번 특구지정을 통해 산업화를 위한 세부지침 등을 정비하게 되면 2050년 전세계 약 600조의 시장으로 급성장이 예상되는 배터리 리사이클링 산업이 국내에서는 최초로 경북에서 본격화돼 관련업계의 주목을 받는다”고 말했다.





▲ 포항형 일자리 창출 개념도. 경북도 제공.
▲ 포항형 일자리 창출 개념도. 경북도 제공.


◆차세대 배터리 기술개발 제조혁신 허브

정부의 규제자유특구 지정과 관련한 경북도의 향후 관련산업 육성계획에 따르면 규제특구는 오는 2023년 지정기간이 끝나면 배터리 국가선도 클러스터로 육성된다.



이를 위해 이차전지(배터리) 산업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소재산업 종합클러스터인 가속기 기반 차세대 배터리 파크(이하 배터리 파크_ 조성 계획을 마련하고 있다.



배터리파크는 포항의 방사광 가속기를 기반으로 해서 배터리 평가인증센터-소재분석기술개발-자원순환-안전테스트베트를 구축, 국내 배터리 소재분야 거점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장준 과장은 “삼성SDI, LGㅘ학, SK리노베이션 등 울산에 위치한 배터리 3사라는 확실한 수요기업이 있어 자동차에 이은 또 하나의 국가산업벨트가 형성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경북 이차전지 기술개발 및 제조혁신 허브 전략. 경북도 제공.
▲ 경북 이차전지 기술개발 및 제조혁신 허브 전략. 경북도 제공.


규제자유특구는 포항형 일자리 창출 모델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차전지 핵심소재에 에코프로가 2022년까지 1조 투자를 진행 중이고 포스코케미컬도 미래산업 10조 투자의 하나로 포항 투자를 하고 있다.



대기업인 GS건설, 현대자동차가 있고 중견기업인 에코프로GEM이 있어 대중소기업간 상생형 일자리 창출이 가능할 전망이다.



마지막으로 경북도는 △포항 R&D △구미, 포항 소재생산 △김천 실증 △경산 충전 △경주, 영천 전기차 생산까지 경북 일원에 5대 거점을 향성하고 울산 현대자동차 산업벨트와 연결해 친환경 자동차 배터리 산업의 중심지가 된다는 구상이다. 경북을 미래 이차전지 기술개발 제조혁신의 허브로 육성하겠다는 것이다.









문정화 기자 moonjh@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