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양 유객문/ 여운형

사람이 나를 사람이라 하여도/ 내가 기뻐할 바 아니요/ 사람이 나를 사람이 아니라 하여도/ 내가 노여워할 바 아니니라/ 내가 사람이면/ 사람이 나를 사람이 아니라 하여도/ 내가 사람이요/ 내가 사람이 아니면/ 사람이 나를 사람이라 하여도/ 내가 사람이 아니니라/ 내가 사람이냐 아니냐를/ 알고자 할진댄/ 나를 사람이다 아니다 하는 사람이/ 사람이냐 아니냐를/ 알아보도록 하라.

- 경기도 양평군 몽양 기념관 앞 어록비

....................................................

1943년 6월경 몽양이 일제에 협력하기로 했다는 기사를 보고 찾아온 사람에게 보여주었다는 ‘주자유객문(朱子留客文)’이다. 이 글은 주자가 귀한 손님이 집에 찾아오면 이 글을 보이면서 “이걸 풀이하면 그냥 가도 좋고 만일 풀지 못하면 자고 가야 한다.”고 했다 한다. 사람들이 나를 뭐라고 평하든지 거기에 대해 기뻐하거나 노여워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내가 떳떳하면 사람들이 나를 뭐라고 입방아를 찧어도 내가 정당할 것이고, 내 스스로 떳떳하지 않다면 사람들이 나를 아무리 훌륭한 사람이라 치켜세워도 사실은 내가 정당하지 못한 사람이다.

즉, 나 자신의 됨됨이 여부가 문제이지 다른 사람들의 평판에는 그리 신경 쓸 필요가 없다는 말이다. 당시 총독부 기관지 ‘경성일보’에 일제 학병을 권유하는 글이 실렸다 하여 두고두고 몽양의 친일의혹이 제기되었지만 이는 몽양의 뜻과 상관없이 조작된 기사란 것이 지금껏 알려진 정설이다. 당시 통역을 맡아 동석했던 경성일보 사회부 기자 조반상 씨도 사실과 다르게 왜곡 보도되었다고 증언한 바 있다. 몽양은 “학병은 지원제도이므로 나가고 안 나가고는 본인들의 의사에 달려있고 나로서는 의견을 말할 바가 못 된다”고 말했다는 것이다.

혹자는 좀 더 단호하게 학병의 부당함을 말하지 못했냐고 할지 모르겠으나 당시 많은 인사들이 일본의 강압에 못 이겨 부일로 돌아섰던 시점임을 감안한다면 충분한 반대의사의 표명으로 보인다. 그리고 아무리 일본 기자라지만 면전에서 상대를 당황스럽게 할 필요는 없었을 것이다. 그때는 이미 총독부의 학병 권유 연설 요청에도 건강문제를 핑계로 거절한 뒤였다. 사실 관계와 이 ‘유객문’으로 미루어보면 그만큼 몽양은 올곧은 신념과 유연한 처신으로 조국의 완전한 독립을 실천하고자 애썼던 사람임을 짐작할 수 있다.

몽양 여운형은 누구이며 오늘날 우리에게 그는 어떤 의미일까. 몽양에 대한 평가는 다채롭다. 하지만 민족화합을 위해 고난의 길을 자처한 진보적 민족주의자였다는 사실에는 이설이 없다. 여운형의 삶을 관통하는 일관된 신념은 민족의 통일과 완전한 독립 국가를 건설하는 일이었다. 해방공간에서 몽양은 조선 민중이 가장 선호하는 지도자였다. 요즘 식으로 말하면 대권 지지도 1위 후보였던 것이다. 특히 청년들의 존경을 한 몸에 받았던 가장 탁월한 지도자였다. 그동안 몽양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있었지만 그는 까면 깔수록 매력적인 인물이다.



김창원 기자 kcw@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