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 대구시와 경북도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공동사무소를 개설했다. 두 지자체의 해외사무소 공동운영 첫 사례이며, 민선 7기 출범 이후 최대 과제 중 하나로 강조돼온 대구·경북 상생협력 노력의 구체적 성과로 평가된다.

대구시와 경북도에서 파견한 5급 소장 2명이 현지인 2명과 함께 일하며 앞으로 현지인 2명을 추가 채용해 지역 기업의 해외시장 개척과 관광, 투자유치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 나갈 예정이다.

현재 대구시는 중국 상하이, 베트남 호치민에 주재관을 파견해 현지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경북도는 미국 뉴욕, LA, 일본 도쿄, 오사카, 중국 베이징, 상하이, 베트남 호치민 등지에 통상투자주재관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경북도는 조만간 미국 사무소 2곳을 1곳으로 통합하고 러시아 연해주 지역에 신규 사무소를 개설할 방침이다.

그간 이들 해외사무소는 대구와 경북이 각각 운영하기 때문에 시너지 효과가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지자체 사정과 지역별 특성 때문에 통합운영에 애로가 없지 않겠지만 가능하다면 자카르타 사무소처럼 대구·경북이 함께 근무하는 시스템을 강구해보는 것도 상생협력에 걸맞는 과제라고 본다.

대구시·경북도 해외 공동사무소는 현지 진출을 희망하는 향토 기업에 특화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당연히 독자 조직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 인력으로 보다 많은 기업에 정보와 편의를 제공할수 있게 될 것이다. 지자체 입장에서도 보다 많은 해외 도시에 자기 지자체를 위해 일하는 직원을 상주 시킬 수 있어 특정 정책 검증이나 긴급 사태 발생 시 신속하게 지원받을 수 있다.

지역의 대학생 배낭 여행객이나 해외 관광객들에게도 도움이 적지않을 것이다. 지역민들이 부담없이 찾아가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조직으로 문호를 개방해도 좋을 듯하다.

그러나 조직문화가 다른 두 기관의 직원이 공동 근무하는 것은 말처럼 쉬운 것은 아닐 것이다. 올해 초 대구·경북 국장급 간부직원 교환근무가 실시됐다. 이 과정에서 경북도로 파견나간 대구시의 간부가 일부 직원들과의 갈등 때문에 6개월 만에 조기 복귀했다.

교환근무 초기 단계이므로 시행착오를 겪을 수 밖에 없다고 이해는 한다. 하지만 꾸준히 강조됐던 대구경북 한뿌리 상생이 흔들리는 모습 같아 민망한 상황이었다.

대구와 경북은 같은 역사를 가지고 있고, 주민 구성도 동질성이 크다. 언젠가는 다시 통합돼야 할 공동 운명체다. 행정 통합에 앞서 경제, 문화 등 여러 분야에서 적지않은 교류가 이뤄지고 있다. 최근의 행정조직 교류와 공동사무소 운영 등이 소기의 성과를 거두어 지역 통합의 마중물이 되었으면 한다.



지국현 기자 jkh8760@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