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의 청년 인구 유출 현상이 심화, 소멸 위험을 경고하는 적신호가 켜졌다.

어쩌다가 이런 상황에까지 몰린 것일까. 예로부터 ‘말은 낳으면 제주도로 보내고, 사람은 서울로 보낸다’는 말이 있다. 이는 많은 군상 속에서 경쟁하면서 발전할 수 있는 기틀을 쌓고 배우고 익혀 성공하라는 격언과 같은 말이었다. 산업화와 함께 진행된 도시화로 수도권에 사람들이 급격히 몰렸다. 각종 부작용과 병폐에도 불구, 서울은 인구 1천만 명의 세계적인 도시가 됐다.

반면에 지방은 고사 위기로 몰렸다. 인구를 빨아들이는 블랙홀이 된 수도권은 비대화로 몸살을 앓는 반면 지방은 인구절벽에 부딪히게 된 것이다. 그중에서도 더욱 심각한 것은 청년층의 대거 이동이다.

1995~2018년까지 24년간 연령별 대구시 인구 순유출 분석 결과, 20대 비중이 50.3%로 나타났다. 이 기간 전체 순유출 인구 30만5천 명 가운데 15만3천 명이 20대 청년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대구의 20대 순유출 인구는 2015년 6천51명에서 2016년 4천813명으로 감소했으나 2017년 4천987명, 2018년 6천40명으로 다시 급증 추세다.

전문가들은 소비 집적지이면서 다양한 산업구조가 복합적으로 갖춰진 도시에서 이렇게 단시간 내에 인구가 감소하는 사례는 극히 드물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들의 집단 이주는 일자리와 교육 때문이다. 지난해의 경우 전체 청년들의 77.2%가 구직을 목적으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속칭 SKY 등 일류대학에 진학하는 학생들이 많은 것도 유출의 큰 몫을 차지한다.

대구 청년의 대거 유출은 도시경쟁력을 떨어뜨리고 예산 축소로 이어져 도시기반시설 조성 등 각종 사업 차질이 불가피해진다. 이런데도 정부는 최근 수도권 과밀화 타개 명목으로 3기 신도시 개발계획을 내놓았다. 국토균형발전을 추구해야 할 정부가 오히려 수도권 집중을 부추기는 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고사 직전의 지방을 더 죽이는 꼴 밖에는 되지 않는다.

지방의 인구 감소는 고령화에 따른 소비감소, 부동산 가격하락, 통폐합 권고 학교 증가, 노인부양 부담 증가, 고용률 등 부작용을 낳는다. 특히 결혼적령기 청년 유출은 지역 성장세를 갉아먹고 저출산 고령화를 더욱 악화시킨다는 점에서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

극복 방안도 확실한 카드가 없다. 최근 열린 ‘대구시 인구정책 토론회’에서는 고작 대구시민 만들기, 양질의 일자리 기반 확충, 매력적인 도시환경 등이 대책으로 제시됐다. 하지만 이러한 것들로는 떠나는 청년들을 잡아 둘 수도, 외지 청년들을 유치할 수도 없을 것 같다.

근원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대구시는 사태의 심각성을 인식, 정책의 최우선 순위에 두고 모든 역량을 집중해 대책을 마련하길 바란다.



홍석봉 기자 dghong@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