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오늘 고리원자력본부에서 ‘원해연’ 설립 MOU 체결

국내 원전의 절반을 가동 중인 경북이 원자력발전소 해체연구원(이하 원해연)을 가져오는 데 실패했다.



이는 원전 설계와 운용, 처리 시설 등의 보유로 국내 원전산업을 이끌어온 경북이 원전 후기산업까지 주도하려는 계획에 차질이 빚어지는 것이어서 지역민의 실망감이 클 것으로 보인다.



14일 경북도와 경주시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15일 오후 2시30분 부산 기장군 고리원자력본부에서 원해연과 중수로 원전해체기술원 설립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최종 입지를 발표한다.



▲ 경주 월성 원전 전경.
▲ 경주 월성 원전 전경.
이날 원해연 설립 입지 발표는 2017년 6월19일 고리 1호기 영구정지 선포로 탈원전 정책의 신호탄을 쏘아 올린 현 정부의 원전 해체 출발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경북도 관계자는 본보와의 통화에서 “원해연 최종 입지는 부산과 울산의 접경지역(울주군)으로 결정됐고, 원해연의 분원 성격인 (가칭)중수로 원전해체기술원이 경주(감포)로 오는 것으로 결정됐다”고 말했다.



이날 업무협약에는 해당 지역 단체장의 서명에 따라, 경북에서는 이철우 경북도지사와 주낙영 경주시장이 참석한다.



사업비와 관련해 도 관계자는 “원해연은 2천400억 원, 중수로 원전해체기술원은 700억 원 규모라는 등등의 추산이 나오지만, 정확한 것은 기획재정부의 예타 등을 통해 한 달 정도 후에 나올 것으로 안다”며 “입지 발표일에 사업비가 확정 발표되지는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북도와 경주시는 이날 입지 발표 후 곧바로 공식 브리핑을 통해 그동안의 경과보고와 경주시-한수원 간 업무협약 체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밝힐 예정이다.



경북은 민선 7기 출범 이후 대형 국책사업 중 스마트팜혁신밸리(1천600억 원 규모)를 지난해 8월 상주 유치에 성공한 이후 SK하이닉스 반도체 클러스터 유치에 실패했다.

이어 국내 원전 24기 중 절반에다 엄청난 사회적 비용을 치르고 방폐장까지 유치했음에도 원해연을 유치하는 데 실패했다. 중수로는 국내 4기(경주)에 불과하다.



경북도 관계자는 원해연 유치 실패 배경에 대해 “영구 정지가 선포된 고리 1호기를 제일 먼저 해체하는 것이다 보니 원해연을 그쪽에 두려는 게 아닌가 한다”며 “아쉽지만 중수로 분야와 함께 방사성폐기물 안전연구센터를 반드시 우리 쪽에 가져와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원자력 해체연구소(이하 원해연) 설치가 부산-울산지역으로, 경주에는 중수로 해체분원을 설치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는 보도에 따라 경주시민들의 반대여론이 들끓고 있다.



그러나 경주시는 “연구소와 해체산업 추진은 별개 문제”라며 “원전 관련 산업 유치에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경주시는 15일 이에 대한 입장을 기자회견을 열어 밝힐 계획이다.



경주시민단체 A(62)씨는 “경주에 6기를 포함하여 경북지역에 우리나라 원전의 절반인 12기가 있고, 방폐장과 한수원 본사 등 원전 관련 시설이 집중해 있어 당연히 원해연은 경주가 최적지”라며 “정치적 논리로 경주를 외면한다면 더 이상 참을 수가 없다. 물리적인 행사를 해서라도 권리를 찾아야 한다”며 분개했다.



경주시 관계자는 “연구소는 연구소로 끝난다. 해체에 따른 사업비는 한수원이 모두 집행하는 시행처로 연구소와는 별개”라며 “아쉽지만 지속적으로 융복합시설과 원자력안전연구시설 등의 관련 산업 유치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 말했다.





강시일 기자 kangsy@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