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회담을 마친 문재인 대통령이 남·북, 북·미로 이어지는 정상회담의 추진으로 교착 상태에 빠진 북·미 비핵화 협상 재개를 위한 총력전을 펼칠 전망이다.

4차 남·북 정상회담을 통해 3차 북·미 정상회담을 견인하고 이 과정에서 북한이 원하는 일부 대북 제재 해제 등 단계적 비핵화 로드맵 작성은 물론 미국이 원하는 포괄적 비핵화 최종단계 합의까지 이끌어내겠다는 구상이다.

문 대통령이 추진하는 대북특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했을 것으로 보이는 비공개 대북메시지가 향후 정세를 가를 것으로 보인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북미정상회담 용의” 연설에 트럼프 대통령이 즉각 화답하면서 정부의 대북특사 파견 움직임은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14일(한국시각) 트위터를 통해 “김정은 위원장과의 개인적 관계가 매우 양호하다”며 “서로 어떤 입장을 취하고 있는지 충분히 이해하기 때문에 3차 정상회담이 좋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김 위원장이 지난 12일 최고인민회의에서 “나와 트럼프 대통령 사이의 개인적 관계는 두 나라 사이의 관계처럼 적대적이지 않으며 여전히 훌륭한 관계”라며 “3차 북미정상회담을 제안한다면 한 번은 더 해볼 용의가 있다”고 연설한 것에 대한 화답으로 해석된다.

또 트럼프 대통령이 문 대통령의 남·북 정상회담 추진 계획에 “남북정상회담을 통해서 한국이 파악하는 북한의 입장을 조속히 알려달라”라고 요구한 점도 우리 정부의 중재자 역할에 무게를 더한다.

이에 따라 청와대의 대북특사 파견 움직임은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으로서는 한·미 정상회담의 결과를 토대로 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과의 핵 협상 테이블에 나오게 해야하는 막중한 과제를 안게 됐기 때문이다.

대북특사로는 정의용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국가정보원장이 가장 유력해 보인다.

두 사람은 지난해 3월과 9월에 각각 남북정상회담 개최를 앞두고 김상균 국정원 2차장, 천해성 통일부 차관, 윤건영 청와대 국정기획상황실장과 특사로 북한을 다녀온 바 있다.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 김현종 안보실 2차장 등도 거론된다.

일각에서는 남북 대화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큰 상황에서 이낙연 국무총리가 특사로 파견될 수 있다는 보도도 나왔으나 청와대는 ‘결정된 것이 없다’고 설명했다.









이상훈 기자 hksa707@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