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은 갈아엎는 달/ 신동엽

내 고향은/ 강 언덕에 있었다/ 해마다 봄이 오면/ 피어나는 가난// 지금도/ 흰 물 내려다보이는 언덕/ 무너진 토방가선/ 시퍼런 풀줄기 우그려 넣고 있을/ 아, 죄 없이 눈만 큰 어린 것들// 미치고 싶었다/ 4월이 오면/ 산천은 껍질을 찢고/ 속잎은 돋아나는데,/ 4월이 오면/ 내 가슴에도 속잎은 돋아나고 있는데,/ 우리네 조국에도/ 어느 머언 심저, 분명/ 새로운 속잎은 돋아오고 있는데,// 미치고 싶었다/ 4월이 오면/ 곰나루서 피 터진 동학의 함성/ 광화문서 목 터진 4월의 승리여// 강산을 덮어, 화창한/ 진달래는 피어나는데,/ 출렁이는 네 가슴만 남겨놓고, 갈아엎었으면/ 이 균스러운 부패와 향락의 불야성 갈아엎었으면/ 갈아엎은 한강연안에다/ 보리를 뿌리면/ 비단처럼 물결칠, 아 푸른 보리밭// 강산을 덮어 화창한 진달래는 피어나는데/ 그날이 오기까지는, 4월은 갈아엎는 달/ 그날이 오기까지는, 4월은 일어서는 달.

- 1966년 4월 동아일보에 발표

...........................................................

1930년생 신동엽 시인이 만약 살아 계시다면 지금 아흔의 나이다. 하지만 만으로는 마흔을 채 넘기지 못하고 1969년 4월 7일 짧은 생을 마감했다. 그러니까 어제가 신동엽 시인의 50주기였다. 4월에 가장 먼저 떠오르는 시인이라면 역시 신동엽이다. 또 신동엽 하면 바로 생각나는 시가 <껍데기는 가라>이다. 다음으로 동학혁명을 주제로 한 서사시 <금강>이 있다. 그리고 이 시대에 더욱 깊이 와 닿는 시가 바로 <4월은 갈아엎는 달>이다. 우리 문학사에 매우 선명하고도 강렬한 족적을 남긴 이 시인을 어떤 연예인의 이름으로만 알지 제대로 기억하는 젊은이들이 요즘 얼마나 될지 모르겠다.

우리 삶 안에 신동엽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추모행사들이 연중 마련되어있다. 창비에서는 ‘산문전집’과 신동엽문학상 수상자들의 신작 시집과 소설집을 출간했다. 시집의 <밤은 길지라도 우리 내일은>이라는 제목은 그의 시 ‘밤은 길지라도 우리 내일은 이길 것이다’에서 따왔다. 제목이 함의하는 바처럼 지금은 비록 뒤죽박죽일지라도 결국 우리 내일은 이기리라 전망하고 있다. 이 시는 4.19와 동학을 통해 민중의 질긴 생명력과 민주에의 열망을 재확인하면서 이를 억압하는 모든 비본질적 요소들이 사라지기를 갈망하고 있다. 순수정신은 퇴색되고 사이비가 판을 치는 안타까운 현실에 분노하며 저항의 의지를 다시 불태운다.

53년 전 동시대의 현실에 향했던 비판들이 불행하게 오늘날의 상황 아래서도 여전한 현실성을 띠고 있다는 것이 징그럽도록 슬프다. 변화에의 기대로 설레며, 껍질을 찢고 푸르게 돋아나는 속잎을 보면서 미치고 싶은 이 잔인한 4월에 한바탕 다시 갈아엎고 싶은 충동이 치민다. 그 땅에 새롭게 보리씨앗을 파종하여 이 강산 푸르게 건강한 보리로 넘실대도록 할 수는 없을까. “문명체계가 막다른 골목에서 흠집이 져 부서지려 할 때, 비로소 인간은 무의식적이건 의식적이건 정신을 차리어 인간성으로 돌아오는 것이다.” 신동엽 시인의 산문 중 한 문구다. 나라 안팎으로 지금이 그러한 때다. ‘이 균스러운 부패와 향락의 불야성’을 갈아엎을 때가 온 것이다. 새로운 ‘속잎’이 돋아 ‘비단처럼 물결칠’ 그날을 맞이하기 위해 먼저 우리스스로의 마음밭부터 갈아엎어야겠다.







김창원 기자 kcw@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