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대구만의 맞춤형 응급의료 지역화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다소 늦은 감이 없진 않지만 다행스러운 일이다.

대구시는 응급환자 발생부터 최종치료 제공까지 빈틈없는 응급의료 안전망을 구축하기 위해 지난 13일 ‘대구 응급의료시행계획’을 수립, 추진한다고 밝혔다.

대구시는 지방정부 중심의 응급의료 정책 추진을 위해 소방 및 응급의료기관 등과 협업체계도 구축했다.

대구시는 응급의료 현장-이송-병원 단계별로 모두 13개 추진과제를 설정해 이 계획을 추진하기로 했다.

하지만 대구시의 응급의료 안전망 구축은 이것만 가지고는 안 된다. 최근 인천시가 운영 중인 ‘닥터-카’ 사례는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인천시와 가천대 길병원은 지난 12일 중증 외상 환자를 위해 달리는 응급실 ‘닥터-카’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달리는 응급실’로 불리는 ‘닥터-카’는 외상 외과 전문의와 간호사가 구급차에 직접 타고 출동, 환자 응급 처치 및 간단한 수술 등을 통해 사망률과 장애를 줄이려는 목적으로 운영한다.

현재 닥터 카를 운행하는 지자체는 인천시가 유일하다. 2016년 울산대병원 권역외상센터가 국내 처음 도입해 성과를 냈지만, 예산 부족으로 지난 1월 운행을 잠정 중단한 상태다. 서울시도 최근 ‘날아다니는 응급실’ 역할을 하는 소방헬기를 도입했다.

이같이 지자체마다 응급환자를 위한 비상 의료체계 강화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대구시는 권역별 외상센터로 지정된 경북대병원이 센터 지정 5년 만인 지난해 정식 문을 열고 응급환자 대응체제를 갖췄다. 이 때문에 경북대병원은 복지부 평가에서 수년 동안 하위 평가를 받는 수모를 당했다.

경북 안동병원은 2013년부터 닥터헬기를 운용, 지난해 말 2천 차례 출동기록을 세우는 등 활성화되고 있다. 경북대병원은 닥터 헬기 도입은 수요를 고려해 결정키로 하는 등 아직 준비 단계다. 대구에서 닥터헬기를 운용하는 데는 다소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도심 교통체증이 일상화돼 있고 달성군 등 외곽지역의 발전이 가속화되면서 응급 환자 발생이 크게 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한다면 닥터헬기 도입을 서둘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앞서 인천시가 운영 중인 ‘닥터-카’ 시스템을 벤치마킹해 시도하는 것도 한 방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의 응급환자가 적절한 시간 안에 치료를 받지 못해 숨지는 예방 가능 사망률이 30.5%(보건복지부 자료)로 선진국의 3배가 넘는다고 한다. 응급환자를 위한 시스템 구축은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



홍석봉 기자 dghong@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