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석/ 기상청장



겨울이 지나가고, 봄기운이 남쪽에서 물씬 올라오고 있다. 움트는 새싹을 보며 다시 한번 희망을 품는다. 계절의 변화와 함께 우리가 체감하는 날씨도 매일 조금씩 변한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농사를 중시하는 사회로 홍수나 가뭄과 같은 날씨의 변화에 큰 영향을 받아왔다. 홍수는 국지적인 피해가 있을지라도 상대적으로 다른 지역의 풍작을 가져오기도 했지만, 수리시설이 발달하지 못했던 고대에는 가뭄은 기근을 뒤따르게 함으로써 민생의 삶을 고단하게 할 뿐만 아니라 국가의 흥망성쇠까지 좌지우지할 정도로 사회경제적으로 영향이 컸다. 과거 기록을 보면 역사상 가장 최악의 가뭄으로 기록되었던 조선 시대 경신 대기근(1670~1671년)의 경우 전국 8도가 흉작이었고, 그로 인해 굶주리는 사람들이 속출하여 조선 총인구의 11~14%인 약 140만 명 정도가 사망하였다고 한다(이화사학연구, 2011). 이로 인해 가뭄으로 인한 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 기상관측 기록과 제언(저수지) 및 수리시설을 수축(修築)하고, 천문과 역술 탐구에 몰두하기도 하였다. 또한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문종 이전에는 비가 온 후 땅을 파서 비가 젖어 들어간 깊이를 측정하기도 하고, 세종 때에는 측우기를 이용해 전국적으로 우량을 관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가뭄에 대비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과거에도 가뭄으로 인한 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강수량 관측을 중요시하였으며, 현재도 강수량 관측과 장기전망을 통해 가뭄으로 인한 피해를 대비하고 있다.



기상청은 1개월 전망과 3개월 전망, 가뭄 및 수문 기상정보를 통해 현재에 대한 분석과 함께 장기전망을 서비스하고 있다. 1개월 전망은 향후 1개월간의 예보를, 주별로 나누어 기온과 강수량에 대한 발생확률정보 형태로 매주 발표한다. 확률예보는 평년(1981~2010년 평균)자료와 비교하여 미래의 기온과 강수량의 발생 가능성을 ‘낮음(적음)’, ‘비슷’, ‘높음(많음)’ 확률(%)로 발표한다. 3개월 전망은 발표한 날 다음 달부터 3개월간의 예보를 1개월 단위로 나누어 매월의 평균기온과 강수량의 발생 가능한 확률로 예보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미국, 일본, 영국 등 기상선진국에서도 사용하는 예보 방법으로 1개월, 3개월 앞을 내다보는 장기예보의 태생적 불확실성을 감안하여 표현한 것이다. 3개월 전망은 엘니뇨와 라니냐에 대한 전망과 함께 해당 예보 기간 동안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북극 해빙 등 기후감시요소에 대한 분석도 제공한다.



장기예보에서 제공하는 기후전망은 농업, 에너지, 의류 등의 분야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겠지만, 자연재해 분야에 있어서는 가뭄대응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아닐까 싶다. 가뭄은 일정 기간 특정지역에서 강수량 부족으로 발생하는 기상 가뭄, 작물 생장에 필수적인 토양수분을 고려한 농업적 가뭄, 저수율 등 수자원 부족으로 판단하는 수문학적 가뭄, 사회기반시설의 물 공급 부족으로 평가하는 사회경제적 가뭄으로 정의를 달리하여 분야별로 가뭄에 대응하고 있다. 기상청은 선제적으로 가뭄에 대응하고자 기상법 제13조의2를 근거로 일반 국민에게 기상학적 가뭄 예보를 발표하고 있다. 기상학적 가뭄은 특정 지역에서의 강수량이 평균 강수량보다 적어 건조한 기간이 일정 기간 이상 지속하는 현상을 말한다. 1개월 전망은 우리나라 가뭄 현황 및 1개월 후 가뭄 전망정보를 매주 제공하고, 3개월 전망은 가뭄 관계부처(행정안전부, 기상청, 환경부, 농림축산식품부)와 합동으로 가뭄 현황 및 1·3개월 가뭄 전망에 대해 가뭄 예·경보를 매월 10일께 제공하고 있다.



가뭄 정도와 관련하여 가뭄지수 현황을 제공하는데, 표준강수지수(SPI,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를 활용한다. 표준강수지수는 WMO에서 권장하는 기상학적 가뭄지수로,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지수이다. 강수량만을 이용하여 가뭄 정도를 산정하며, 수개월~수년까지 시간 규모별로 강수량의 과잉 혹은 부족을 나타내기 때문에 장·단기 가뭄 정보를 다양하게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편리성으로 농업, 수문학적 가뭄 감시에도 일반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표준강수지수에 활용되는 누적강수량의 기간에 따라 SPI1~SPI24까지 표현되는데, 맨 뒤의 숫자는 몇 개월 누적강수량을 활용했는지를 의미하며, 여름철 강수량이 절반 이상인 우리나라의 기후적인 특성과 물을 가두어놓고 활용하는 물관리 특성을 고려하여 6개월 누적강수량으로 산정한 SPI6을 활용하여 가뭄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기후정보는 매일 발표되는 기상정보와 더불어 지역민의 실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기에, 단기간의 날씨정보 만큼이나 최대한 정확하고 빠른 전달이 필요하다. 기상청은 최대한 정확하고 가치 있는 기후정보 서비스로 국민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할 것이다.



박준우 기자 pjw@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