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우/



“한 번만 보고 싶어요.”

불은 지하철역 벽면을 시커멓게 숯 검댕으로 그을려 놓았다. 그 위를 손톱으로 하얗게 긁은 글씨는 살아남은 사람들의 가슴에 박혔다. 대구 지하철 1호선 중앙로역 기억의 공간. 1년 중 하루만 기억하는, 해마다 그날이 오면 한 번 찾아보는 공간이 아니다.

“사랑합니다.” “편히 쉬세요.” 우리 가슴속에 새겨 당신의 죽음이 헛되지 않도록, 다시는 그런 억울한 죽음이 없도록 영원히 기억하겠다는 다짐이다.

16년 전인 2003년 2월 18일 오전 9시 53분. 대구 지하철 1호선 중앙로역에서 불이 났다. 장애인 김대한이 휘발유 7천500원어치를 사서 지하철에 타서는 1079호 열차가 중앙로역에 이르렀을 때 불을 질렀다. 뒤이어 중앙로역에 도착한 1080호 열차는 전원이 끊어져 전동차가 움직일 수 없게 되자 기관사는 승객들에게 대기하라고 안내방송을 한다. 그리고 열차 문을 닫은 채 기관사는 마스터키를 가지고 대피해 버린다. 피하지 못한 승객들, 불이 난 1079호 열차보다 1080호 열차에서 사망자가 더 많았다.

“눈을 감아도 ‘살려 달라’고 하는 사람들이 떠올랐어요.” 지하철 참사 당시 출동했던 소방관이 남긴 글에서 긴박하고 처절했던 참사 당시 현장 모습이 그려진다.

“못 나갈 것 같아예, 저 죽지 싶어예. 어무이, 애들 잘 좀 키워 주이소.” 직장을 얻으러 가던 구직자가 어머니에게 보낸 문자는 유언이 됐다.

사망 192명, 부상 151명. 아직도 연고를 찾지 못하는 6구의 주검은 지금도 가족이 어디선가 돌아오지 않는 희생자를 기다리고 있을지도 모른다.

참사 이후 우리 사회는 그런 참사를 방지하기 위해 온갖 노력을 기울였다. 당장 지하철 열차 내 좌석의 시트는 물론 열차 내부를 불이 잘 타지 않는 내연재로 바꾸고 화재감지시스템을 설치했다. 불이 났을 때를 가상한 대피훈련도 하고 있다. 곳곳에 화재 등 비상사태에 대비한 방독면과 산소통, 손전등도 비치해놓고 있다. 지하철에서 사고가 났을 때를 대비해 수동으로 출입문을 열 수 있도록 해놓고 비상탈출 경로 안내문과 방법. 지하통로를 이용할 수 있는 사다리를 준비해두고 있다.

범인 김대한의 세상을 향한 분노, 그 분노가 지하철에서 불을 지른 것이다. 아무 죄 없는, 그와 같은 시간 같은 열차에 타고 있었다는 죄밖에 없는 수많은 사람을 죽음으로 몰아넣었고 그보다 훨씬 많은 사람들을 슬픔과 분노에 빠뜨렸다.

무기징역을 선고받은 범인은 2004년 지병으로 숨졌고 사고 당시 대처를 잘못한 기관사들은 금고 4~5년을 선고받았다. 그런데도 그런 사고는 끊이지 않는다.

분노는 식지 않고 사람들의 사람 목숨을 가볍게 여기는 데서 생기는 사고도 끊이지 않는다. 304명의 목숨을 수장한 세월호 사건이 그랬다. 태안화력발전소 비정규직 노동자 고 김용균씨는 사고 두 달이 지난 뒤에야 안면에 들 수 있었다. 이 땅에서 살면서 제대로 목숨 값 받기는 참으로 어려운, 여전히 스스로가 지켜내야 할 일이다. 그러나 이제는 제값을 받아내야 할 일이다.

우리 사회가 얼마나 더 잘 살아야 이런 분노가 사라질까. 길을 걷다가 차를 타고 가다가 현장에서 일하다가 일어나는 사고로부터 생명을 보호하는 일에 우리 사회는 여전히 투자에 인색하다.

국민소득 3만 달러를 넘어섰다는 수치로만 자랑할 일이 아니다. 우리 사회가 국민소득에 걸맞은 국민의식 수준을 갖춰야 하고 이를 가정에서부터 학교와 지역사회 국가가 함께 끌어올려야 한다. 사람 목숨값을 제대로 쳐 주는 사회로 만들어야 한다.

참사를 기억하는 것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참사를 방지하고 그런 참사로부터 목숨을 지켜내는 사회로 바꾸어 가야 한다. 그들의 죽음이 헛되지 않도록.

오늘도 지하철에 탄 수많은 얼굴들, 용케 자리를 잡은 승객들은 무심한 얼굴로 스마트폰에 얼굴을 파묻거나 모자라는 잠을 보충한다. 그들은 이 평화로운 공간에서 일어난 끔찍한 참사를 기억할까. 2월 18일, 그날 희생된 영혼들을 추모하며.







박준우 기자 pjw@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