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자원부 방문해 “최적지는 경주”

문재인 정부 ‘탈원전 정책’의 핵심인 원전 해체연구소 입지 선정을 위한 정부 용역이 진행 중인 가운데 ‘부산·울산 내정설’에 경북도와 경주시가 강력히 대응하고 있다.



경북도와 경주시는 12일 산업통상자원부에 전강원 동해안전략산업국장과 이영석 부시장 등 관계 공무원을 급파, 이날 한 언론의 ‘2천400억 원전 해체연구소 부산·울산 접경에 짓는다’는 기사에 대한 해명을 요구하고 경주가 최적지임을 강조했다.



이 언론은 부산시와 울산시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원전해체연구소가 부산 기장군 장안읍과 울산 울주군 서생면에 걸쳐 설립예정이고, 연구소 정문 출입구 위치를 두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고 전했다.



▲ 경북 원전 및 관련 기관 현황
▲ 경북 원전 및 관련 기관 현황
또 현재 한수원과 산업부, 지자체, 민자 등 참여기관 간 지분비율을 조정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산업통상자원부는 해명 보도자료를 통해 “원전해체연구소 설립과 관련해 아직 결정된 바 없다”고 언론 보도를 부인하며 진화에 나섰다.



그러면서 산업부는 “현재 입지, 규모, 방식 등 다양하게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산업부 관계자들을 만난 김승열 경북도 원자력정책과장은 “원전해체연구소 입지선정을 위한 연구용역 결과가 이달 말 나오고, 다음달 관련 정부 발표가 있는데 특정 지역에서 마치 입지가 확정된 것처럼 주장하는 것은 말도 안 된다”고 반발했다.



경북도와 경주시는 이날 산업부에 경주가 원전 해체연구소 유치 최적지임을 강조했다.



전강원 경북도 동해안전략산업국장은 “가장 중요한 것은 다른 지역 (원전)해체 폐기물이 경주에 온다는 것인데 (해체연구소는 다른 데 가고) 폐기물만 경주에 온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말했다.



전 국장은 또 “부산·울산은 원전 해체연구소를 원전 단지 내에 두려 하지만, 우리는 (해체연구소) 인근에 약 70만 평 규모는 임해부지가 들어 있어 해체연구소만 들어가는 게 아니라 안전연구센터 등 연관산업이 들어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경북도는 원전 설계, 건설, 운영, 처리를 위한 기관이 입지해 해체연구소만 들어가면 원전 관련 사이클이 완성되는 최적지라는 점, 특히 노무현 정부 때 19년간 표류하던 방폐장 문제를 경주시민의 압도적 찬성으로 국가에너지 숙원 사업을 해결한 점을 등 들어 경주 유치 당위성을 펼치고 있다.

또 전국 원전 50%를 갖고 있고, 2030년까지 설계수명 다하는 원전 12기 중 절반이 경북에 위치한 점도 해체연구소가 경주로 와야 하는 이유라고 강조한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정부 에너지 전환 정책에 따라 신규원전 백지화, 노후원전 조기폐쇄 등 직·간접 피해를 경북이 가장 많이 받게 된 것이 사실인 만큼 기필코 원전해체연구소를 도내에 유치해 낙후된 지역경기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적극적으로 힘쓰겠다”고 밝혔다.



한편, 산업부는 지난달 원전 해체연구소 입지선정을 위한 타당성 연구용역을 실시, 다음달 말쯤 입지 선정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 경주시와 경북도가 12일 원전해체연구소는 경주지역이 최적지라고 산업통상자원부를 방문해 주장했다. 사진은 경주지역의 월성원자력본부 전경.
▲ 경주시와 경북도가 12일 원전해체연구소는 경주지역이 최적지라고 산업통상자원부를 방문해 주장했다. 사진은 경주지역의 월성원자력본부 전경.










강시일 기자 kangsy@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