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와 설날/ 김종해



우리의 설날은 어머니가 빚어주셨다/ 밤새도록 자지 않고/ 눈 오는 소리를 흰 떡으로 빚으시는// 어머니 곁에서/ 나는 애기까치가 되어 날아올랐다/ 빨간 화롯불 가에서/ 내 꿈은 달아오르고/ 밖에는 그해의 가장 아름다운 눈이 내렸다// 매화꽃이 눈 속에서 날리는/ 어머니의 나라/ 어머니가 이고 오신 하늘 한 자락에/ 누이는 동백꽃 수를 놓았다// 섣달 그믐날 어머니의 도마 위에/ 산은 내려와서 산나물로 엎드리고/ 바다는 올라와서 비늘을 털었다// 어머니가 밤새도록 빚어놓은/ 새해 아침 하늘 위에/ 내가 날린 방패연이 날아오르고/ 어머니는 햇살로/ 내 연실을 끌어올려 주셨다



- 시집『어머니, 우리 어머니』(문학수첩,2005)

..........................................................

이 시는 아우인 김종철 시인과 함께 어머니를 그리는 시편들로만 각 20편씩 한 권으로 묶은 공동 시집 ‘어머니, 우리 어머니’에 수록되어 있다. 그들의 남다른 형제애는 문단에 잘 알려진 바이며, 형제의 사모곡은 더욱 유명하다. 공동시집을 통해 어머니의 사랑과 그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의 깊이를 충분히 헤아리고도 남았다. 시편 갈피마다 어머니의 사랑이 어떻게 전해지고 그들에게 녹아들었는지를 느낄 수 있었다. 그 형제뿐만이겠나. 어머니의 사랑에 대한 때늦은 후회와 그리움은 어머니가 곁을 떠난 뒤에야 더 절절하고 격렬히 치밀어 오르니.

내 어머니도 천년만년이나 사실 줄 알고 걸핏하면 놀려먹듯 핀잔을 주고, 밖에서 발화한 온갖 짜증을 어리광처럼 부려놓곤 했는데 3년 전 황망히 가신 뒤 지금껏 이토록 통렬하게 가슴을 쥐어뜯을 줄이야. 김종철 시인의 시 ‘엄마 엄마 엄마’를 읽다가 눈물을 기어이 쏟아내었다. “나는 어머니를 엄마라고 부른다. 사십이 넘도록 엄마라고 불러 아내에게 핀잔을 들었지만, 어머니는 싫지 않으신 듯 빙그레 웃으셨다. 오늘은 어머니 영정을 들여다보며 엄마! 엄마! 엄마! 엄마! 하고 불러 보았다. 그래그래, 엄마! 하면 밥 주고, 엄마! 하면 업어 주고, 엄마! 하면 씻겨 주고, 아! 아!… 엄마! 하면 그 부름이 세상에서 가장 짧고 아름다운 기도인 것을!” 나도 호흡기를 입에 문 엄마의 귀에다 수없이 부르고 또 불렀던 ‘엄마!’

섣달 그믐밤 어머니는 늘 그러셨다. 턱을 고이고 코딱지처럼 달라붙어 졸고 있는 내게 잠들면 눈썹이 센다고 했다가 종래엔 방으로 옮겨 이불을 덮어주시곤 했다. ‘어머니가 밤새 빚어놓은 새해 아침 하늘 위에’ 내가 철없이 날린 방패연의 꼬리만 가물가물하다. 어머니가 빚어주지 않은 설날을 생각해 본 적이 없다. 어머니가 곁에 계시지 않은 상황은 상상조차 못 했다. 늘 곁에 계신다는 생각에 설날 어머니에게 세배 올리는 것이 연중 유일한 범절이었다. 그렇게 졸지에 떠나시리라고는 도무지 생각지 못했고 따라서 방비도 없었다.

어머니 생애 마지막 어느 가을날, 비교적 건강한 어머니의 모습을 담은 사진을 물끄러미 들여다본다. 그리고 한 달 뒤 쓰러지시고 꼭 100일 만에 세상을 뜨셨다. 세수로는 아흔이지만 나로서는 청천벽력이 아닐 수 없었다. 차례를 지내면서 맨 나중 오래 엎디어 용서를 빌며 마음으로 울었다. 내게 설날은 살아생전 근심만 안겨드렸던 불효자의 무릎 꿇음 예배시간이다. 어머니의 ‘햇살’을 떠올리는 것조차 실은 염치가 없다. 그럼에도 여전히 하늘에서 햇살로 ‘내 연실을 끌어올려 주’실까.



박준우 기자 pjw@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